위로가기 버튼

문화융성시대와 지역문화의 발전

등록일 2015-10-06 02:01 게재일 2015-10-06 18면
스크랩버튼
▲ 김태곤<br /><br />대백프라자 갤러리 큐레이터
▲ 김태곤 대백프라자 갤러리 큐레이터

시대정신은 각 나라의 발전과 비례해 항상 변해 왔다. 우리나라도 이전까지의 목표가 `잘 먹고 잘사는 것`에 맞추어져 있었다면, 이제부터는 많은 사람들이 잘 사는 방법을 고민하고, 행복하게 사는 법을 찾는 시대로 변해가고 있다. 국민소득이 2만달러를 넘어서고, 무역규모도 1조 달러를 달성하면서 더 이상 절대적인 빈곤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현격하게 줄어든 것 역시 달라진 우리의 모습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민의 삶의 질과 행복 수준은 여전히 제자리를 맴돌고 있는듯한 현상은 어디에서 기인한 것일까?

2013년 `국민 행복, 희망의 새 시대`라는 국정 비전을 제시하며 새롭게 출범한 박근혜 정부의 국정목표를 `창의교육과 문화가 있는 삶`으로 정하고 다양한 창조경제와 문화융성정책을 펼침으로써 이러한 국민들의 공허한 삶을 재미있고 즐겁게 만들겠다고 공언했다. 이러한 대통령의 노력이 문화체육관광부와 문화재청 예산 및 미래창조과학부 디지털콘텐츠 예산 등을 포함한 문화재정은 6조5천780억원으로, 올해 6조1천201억원에 비해 4천579억원이 증가했으며 정부 총지출(386조7천억원)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올해 1.63%에서 1.70%로 상승했다. 특히 문화융성 주무부처인 문체부의 재정지출 규모 증가는 단연 두드러진다. 문체부의 내년 재정규모는 5조4천585억원으로 올해 4조9천959억원에 비해 9.3% 증가했다. 문화재정이 정부재정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문화융성을 국정기조의 하나로 채택한 현 정부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다. 이전 정부 때인 2012년에는 1.41%였으나 2013년 1.47%, 지난해 1.52%, 올해 1.63%로 연평균 10% 이상 증가한 수치이다.

`좋은 나라는 국민이 행복한 나라`라는 박근혜 정부의 국정철학을 담긴 정책이다. 권력이 있고 돈이 많다고 꼭 행복한 것은 아니지만 국제 사회에서 국가의 정치적 힘이 크고 경제적으로 풍요로워진다면 국민의 행복지수 또한 빠른 성장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 12년 OECD 가입 34개국 중 우리나라는 27위를 차지하였으며, 2004년부터 2010년까지 자살률도 세계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이런 결과를 보면 국민이 느끼는 삶의 질과 행복의 수준은 무관하지 않을 것 같다.

그리고 문화융성의 기초 토양인 지역문화를 바라보는 관점에서 지역이 자율적으로 각 지역의 특수성과 고유성을 키워 나가도록 수도권 중심 정책을 지양하고, 지역예산의 증대와 균형 지원 및 예산집행의 신축성을 부여하며 지역문화의 자치화를 실현하기 위한 정책들도 함께 수립되고 있다. 이는 “진정한 문화는 꽃이 아니라 토양이며 다양한 꽃이 자생토록 하기 위해서는 자율과 상생, 융합에 바탕을 둔 문화예술 정책의 틀이 새롭게 전환되어야 한다”는 주장처럼 지역문화의 특수성과 자생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문화정책이 필요하다.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지역에서 순수예술을 개척해 나가고 있는 젊은 예술가들에 대한 깊은 관심과 지원이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지역문화를 생산하는 젊은 예술인들이 지역을 모두 떠나 버린다면 궁극적으로 지역이라는 공동체는 모두 무너져 버릴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지역 문화의 꽃은 피우기 위해서는 젊은 예술인들이 먼저 다양한 활동에서 오는 재미를 만끽하고, 향유하여 순수예술에서 파생되는 다양한 문화를 만들어 나가는 계기를 마련해 주어야 할 것이다. 이는 지자체와 문화 종사자 모두의 책임이며, 의무이다. 다양한 지역의 문화와 예술 활동이 그 어느 때보다 풍성하고 활발해진다면 진정한 문화융성의 시대는 빨리 찾아올 것이다.

아침산책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