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수협 PF대출부실률 급증 빚더미는 조합원이 부담

김혜영기자
등록일 2015-09-18 02:01 게재일 2015-09-18 11면
스크랩버튼
최근 수년간 수협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부실률이 증가해 신용사업 운용이 도마 위에 올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신정훈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은 17일 서울 송파구 수협중앙회에서 열린 수협중앙회 국정감사에서 “수협의 PF대출 부실률이 3년 새 3배나 급증했다”고 질타했다.

신 의원에 따르면 수협의 PF대출 부실률은 2011년 7.8%, 2012년 9.2%, 2013년 16.5%, 지난해 21.8%로 늘었다. 같은 기간 부실액도 492억원에서 958억원으로 2배가량 많아졌다.

그는 “2011년부터 올해 3월까지 PF부실채권 매각으로 인한 손실액이 2천360억원에 달했다”며 “2010년 2천억원 이상의 PF부실채권을 매각한 점을 고려하면 수년 사이 4천300억원을 넘는 손실을 본 것”이라고 지적했다.

신 의원은 기업회생절차를 밟는 경남기업에 대한 대출에 대해서도 책임을 물었다. 수협의 경남기업 여신은 총 606억원인데 이 중 약 3분의2가량인 406억원의 대출이 경남기업 워크아웃 기간에 이뤄져 수협이 손실을 봤다는 것이다.

신 의원은 “국민의 혈세가 투입된 빚더미 은행이 손실이 눈앞에 보이는 부실기업에 돈을 빌려준 꼴”이라며 “부실 대출을 해주고 손실을 떠안으면 결국 그 모든 빚더미는 조합원들이 부담하게 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이원태 수협 신용사업대표이사는 “2010년 이후 PF 대출은 부실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김혜영기자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