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내부 갈등 진화 없이 진행되는 하나·외환 조기통합… 금융위의 입장은?

뉴미디어팀
등록일 2014-11-03 10:35 게재일 2014-11-03 99면
스크랩버튼
통합이사회로 양 행 조기통합 가시화<br>내부 갈등 진화 여부에는 여전히 의문 남아<br> 노·사간 대화 확인위해 금융위원회 나설까…?

 외환은행이 예정대로 통합이사회를 강행하면서 금융위원회의 대응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앞서 신제윤 금융위원장은 직원들과의 의견 일치가 하나·외환은행의 조기통합 전제조건임을 여러 번 강조했다. 2.17 합의서가 노사정 합의인지 혹은 노사 합의인지, 9.3 조합원 총회가 불법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떠나 ‘조기통합’이라는 사항에 대한 내부적인 합의가 전제되어야 한다고 요구한 것이다. 하지만 국정감사가 끝나자마자 통합이사회가 개최되며 양 행의 구체적인 통합 일정이 진행되고 있다. 존속법인명과 통합은행명, 그리고 통합은행장에 관한 정보까지 언론을 통해 돌고 있는 상황이다. 국감을 통해 외환은행 노·사간 갈등이 드러났고, 상황이 마무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통합이 이루어진다면 금융위의 입장은 곤란해지고 만다. 때문에 금융위가 어떤 방식으로 이번 사건에 대응할지가 금융계의 큰 관심사다

사실, 국정감사를 통해 외환은행 내부의 조기통합과정이 원활하지 않다는 것은 이미 밝혀진 바다. 우선, 9.3 조합원 총회를 둘러싼 노·사간 해석이 매우 달라 이에 대한 징계 여부에 대해 양 측이 첨예하게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상황이다. 외환은행 사측은 징계를 대폭 축소해 발표함으로써 어느 정도 양보했다는 의견이지만, 노조 측은 9.3 총회 자체가 합법적인 집회라고 주장하며 완전한 징계의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징계 철회를 위해 노조 측은 국감 이후 기자회견을 통해 ‘대화에 나서자’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또한, 사측의 부당노동행위에 대한 내부 대화가 이루어졌는지도 의문스러운 부분이다.

지난 국감에서는 사측이 노동부를 사칭에 웹 문자를 발송했던 점이 드러나면서 야당 의원들의 질타가 이어졌다. 정의당 심상정 의원은 ‘국가기관을 사칭한 만큼, 범죄행위에 상응하는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의견을 강하게 피력하기도 했다. 이런 심 의원의 문제제기 이후, 외환은행 사측에서는 고용노동부에 잘못을 인정하는 확인서를 제출했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외환은행 노·사간의 갈등이 좁혀지는 계기가 되지 않겠느냐’는 기대감이 일었다. 직원들과의 내부 화합에 주력한다면, 노·사간 대화의 장이 마련되어 갈등이 해소될 여지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하지만 양 측의 대화가 어디로 흘러가는지에 대한 정보가 전혀 없는 상황에서 통합이사회가 개최되었다는 소식이 흘러나와 궁금증만 자아내고 있는 실정이다.

한 외환은행 직원은 “국감 이후 조합에서 대화를 요구했는데 사측과 어떻게 이야기가 진행되고 있는지 궁금하다. 통합이사회가 열렸다는 것은 그에 대한 어떠한 이야기가 오고갔다는 것인지, 아니면 일방적인 이야기인지 모르겠다.” 라고 답답한 심정을 드러냈다.

통합은 문화, 환경, 여건 등 서로 다른 조직이 결합하는 사항이다. 특히, 사람이 재산인 은행 간의 통합은 철저히 준비와 동의가 수반되어야하는 것이 당연하다.

게다가 이번 하나·외환은행의 조기통합 과정은 5년의 기간을 채우기 전에 제기된 ‘조기통합’으로, 직원들에게는 더욱 민감한 부분이다. 때문에 그동안 2.17합의서와 대규모 징계 등을 두고 벌어졌던 갈등상황에 대해 진정성 있는 모습으로 노·사 간의 갈등 진화 과정이 있었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 양 행의 조기통합 진행 상황은 제대로 대화가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정보 없이 빠르게 흘러가고 있어 주변의 우려 역시 심화되고 있다.

금융당국에서 이에 대해 어떤 식으로 대응하는지에 금융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신제윤 금융위원장이 강하게 입장을 표명했던 만큼, 제대로 된 대화 과정이 수반되고 있는지에 대해 조사하려는 모습과 관심이 필요하지 않을까? /뉴미디어팀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