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문화연대 판소리 다섯바탕<BR>김태희 명창 공연 `감동의 무대`
국악은 5천년 유구한 역사를 이어온 우리 민족의 소리이다.
오랜 가난에 찌든 서민들의 삶의 애환이 뭍어있어 우리는 온몸으로 국악의 소리를 느낀다. 흥겨운 장단에 어깨춤이 절로 나고 슬픈 노래가락에 눈물을 짓기도 한다.
그런 우리 소리가 서양음악에 밀려 점차 설 자리를 잃고 있다. 국악을 배우고 가르치는 일조차 버거운 현실이다.
포항의 현실은 더욱 그렇다. 척박한 문화기반은 공연 문화의 활성화가 어렵다. 포항의 공연기획은 시민들의 호응을 이끌어내지 못해 거의 실패한다. 젊은이들을 대상으로 한 일부 인기가수 공연을 제외하고 거의 성공을 거두기 어렵다.
사정이 이러니 국악 공연은 더할 나위가 없다. 공연을 기획한 사람은 십중팔구 돈만 날리기 십상이다. 그래서 포항에서 제대로 된 국악 공연을 보기는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이런 와중에서도 묵묵히 우리의 소리를 지켜가는 사람들의 열정은 아름답고 그래서 박수를 받는다.
포항에서 오랜만에 우리 소리 공연이 열려 주목을 받았다. 전국푸른문화연대가 기획한 `지음- 명창의 판소리 다섯 바탕`이 지난 12일 포항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에서는 열렸다. 올해 세 번째 공연인 `보성소리 심청가`가 공연됐다.
이날 공연은 ㈔전국푸른문화연대 이재원 이사장이 진행과 해설을 맡았고 제40회 춘향국악대전 판소리 명창부 대통령상을 수상한 김태희 명창(고수 조용수)이 보성소리 `심청가` 중 황후가 된 심청이가 아버지를 그리는 대목 `추월만정`에서부터 심봉사가 눈을 뜨는 대목을 불렀다.
1시간20여분에 걸쳐 진행된 이 공연에는 150여명의 포항시민들이 참석해 추임새를 함께 하며 우리 소리의 멋에 흠뻑 빠졌다.
용흥동에 사는 문종숙씨는 “포항에서 수준 높은 판소리를 들을 수 있는 좋은 시간이었다. 한여름밤의 판소리 공연이라는 조합이라 그런지 공연이 끝나고 공연장 밖의 여름밤 풍경이 운치를 더해주는 것 같았다”고 소감을 밝혔다.
창포동의 서정순씨는 “심청가를 들으면서 몇 해 전 돌아가신 친정아버지가 생각나 공연 내내 눈물이 났다. 매번 공연이 있을 때마다 참여하는데 올 때마다 새로운 감동을 느끼게 한다”고 말했다.
`지음- 판소리 다섯바탕`은 전국푸른문화연대가 기획해 포항에 우리 고유의 소리인 판소리를 소개하고 있는 공연이다. 관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자세한 해설을 곁들여 판소리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판소리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제공하고 있다.
전국푸른문화연대 이재원 이사장은 “5년째 꾸준히 공연을 이어오면서 `지음`이 전국의 국악계에서도 주목하는 공연이 됐고 포항에서도 점차 자리 잡아가고 있는 것같아 뿌듯하다”고 인사했다.
이 이사장은 이어 “문화의 우수성은 다양화에 있다. 지음을 기획·공연하게 된 목적은 우리 소리를 알리고 판소리를 보급하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포항에 보다 다양한 공연 문화를 정착하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고 설명했다.
이 이사장은 “포항 시민들이 좀더 다양한 지역 문화를 경험하기를 바라며, 전국푸른문화연대가 그 역할을 감당하도록 꾸준히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정철화기자 chhjeong@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