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에서 최근 총장 선거 논란이 가라앉지 않자 대학본부가 사실관계 확인 절차에 나섰다.
지난달 26일 총장선거가 치러졌지만 규정위반에 대한 논란이 숙지지 않고 확대되자 대학본부가 직접 조사위원회를 구성, 선거와 관련된 사실관계 확인 후속 조치에 나선 것.
그동안 대학본부는 총장선거에 대해 관여하지 않았고, 권한도 없어 사태를 지켜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선거 후 20여일이 지나는 상황에서 차기총장 추천 등 일정이 빡빡해 총장후보선정관리위원회(선관위)를 상대로 직접 조치에 나서기로 한 것.
14일 경북대 본부 관계자는 “규정위반으로 논란을 빚고 있는 총장선거에 대해 `선관위의 단순실수다` `선거에서의 중대하자다`라는 말들이 많고, 각종 억측과 루머가 난무해 행정을 총괄하는 총장이 직접 나서기로 했다”고 밝혔다.
대학본부는 향후 5~7명의 조사위원회를 구성, 논란이 되고 있는 문제에 대해 조사할 예정이다.
논란의 핵심은 총장추천위원회에는 교수위원으로 단과대에서 최대 3명만 들어갈 수 있지만, 공대의 경우 4명이 들어갔다는 것이다. 이외 외부위원 중 일부가 미리 알려져 후보들이 사전선거운동을 했다는 의혹도 일고 있다.
대학본부는 총장후보가 학내에서도 인정받지 못하고, 계속 시끄러울 경우 교육부의 승인을 얻기가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 이번 선거에서 2순위로 추천된 김동현 교수는 최종시한까지 자료제출을 거부, 교육부에 승인 요청도 하지 못하는 사태에까지 이르렀다.
경북대 관계자는 “총장선거 후 오랜 시간이 흘렀지만 총장후보 선관위와 후보자측의 의견이 대립중이므로 사후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실 확인을 위해 조사위원회를 구성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창훈기자 myway@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