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영한 MBC 일일 사극 `구암 허준`서 활약한 김주혁
“장담하는데 올해 어떠한 배우보다 제가 가장 힘들었어요.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요. 연말 시상식에서 `고생상`이 있다면 받아야겠습니다. 하하.”
배우 김주혁(41·사진)은 MBC `구암 허준` 종영 소감을 묻는 말에 “죽다 살아난 기분”이라며 “사극은 다시는 하면 안 될 것 같다. 수염은 붙이기도 싫다”고 장난스레 손사래를 쳤다.
지난 3월 `오후 9시대 일일극`이라는 새로운 시간대를 개척하며 출발한 `구암 허준`은 어느덧 135회 대장정의 막바지에 다다랐다.
지난 24일 서울 강남구 신사동의 한 카페에서 만난 김주혁은 드라마가 시작했을 때와 비교해 몸무게가 6~7㎏이나 줄어 있었다.
무더운 여름, 세트보다 야외 촬영이 많은 사극을 일일극으로 소화한다는 것은 그의 말을 빌리면 `상상 이상의 중노동`을 요구했기 때문이다.
“극 초반 3~4개월은 한 달에 하루 정도밖에 쉬지 못했어요. 제 스케줄 표를 보면 황당하실걸요? 처음부터 끝까지 다 들어가 있으니까요.”
그는 “마지막 1~2개월은 정신력으로 버티기에도 버거웠다”며 “매일 아침 `오늘만 버티자`고 스스로 다짐했다”고 되돌아봤다.
`구암 허준`은 지난 1999년 MBC 월화극으로 방송돼 최고 시청률 63.7%를 기록한 대히트작 `허준`을 리메이크한 작품이다. 당시 극본을 집필한 최완규 작가가 다시 펜을 들었다.
그런데 김주혁의 전작 역시 고려 시대를 배경으로 한 사극 `무신`. 당시에도 갖은 고생을 한 그는 종영 소감으로 “다시는 사극을 하지 않겠다”고 호언장담을 한 바 있다. “다른 사극 제안이 들어왔을 때는 절대 하지 않겠다고 했어요. 이번엔 허준이어서 한 거죠. 이번이 아니면 제 인생에 다시는 허준을 연기하지 못할 것 같았거든요.”
김주혁의 아버지인 탤런트 고(故) 김무생(2005년 작고)도 1975년 일일극 `집념`에서 주인공 허준을 연기한 바 있다. 그렇기에 허준이라는 배역은 그에게 남다를 수밖에 없었다는 이야기.
그는 “`나는 허준을 해야 한다`라는 생각이 들었다”며 “스스로 돌아봐도 이번 작품은 게을리하지 않았다. 힘들다고 작품을 야외 대신 설렁설렁 세트장서 찍었으면 더 싫었을 것이다. 힘들더라도 끝까지 붙잡고 가는 게 낫다”고 힘주어 말했다.
“아버지 때문에 포기하지 않은 거죠. 그만큼 진중하게 연기하고 싶다는 생각도 했고요.”
극 중 허준은 대중의 뇌리에 자리 잡은 이미지처럼 `인생의 교과서`같이 올곧은 인물이다. 엄격했던 아버지 아래에서 자란 김주혁과 닮은 점이 있어 보인다.
“저는 행동할 때 어떤 `선`을 넘지 못하는 아이입니다. 그전에 멈추는 스타일이죠. 배우로서 좋은 점은 아닌 것 같아요. 연기할 때는 `갈 데까지 가봐야` 하니까요.”
그는 “이 점에서 스스로 벗어나고 싶어서 배우를 하는 것일지도 모르겠다”며 “그만큼 촬영 현장과 연기는 즐겁다”고 덧붙였다.
드라마는 허준이라는 `흥행 보증수표`를 앞세워 일일 사극이라는 새로운 영역에 도전했지만, 고정 시청층이 탄탄한 KBS 1TV `뉴스 9`와 맞붙는 불리한 시간대 등의 탓으로 시청률이나 화제성 면에서 기대에는 미치지 못했다.
“만족하는 점도 있고, `왜 하필 이 시간대일까`하고 아쉬운 점도 있죠. 저는 도전정신은 별로 없거든요. (웃음) 그래도 이 정도 일궈냈다는 것에 대해 내부에서는 만족감이 있다고 하던데요.”
김주혁은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올해는 쉬어야 할 것 같다”면서도 “빨리 현대물을 하고 싶다”고 말했다.
“배우는 쉬는 게 아니라 다른 작품에서 에너지를 얻는 게 `힐링`이죠. 현대물에서 마음껏 놀아보고 싶어요. 좀 짧은 작품으로요. 하하”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