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6·25 아픔 잊지말자” 15만명 하나 돼 세계평화 염원

윤광석기자
등록일 2013-09-23 02:01 게재일 2013-09-23 10면
스크랩버튼
정전 60주년 맞아 칠곡서 열린 제1회 낙동강세계평화대축전 성황리 마쳐
▲ 15만명이 찾은 낙동강세계문화대축전 폐막식에서 내외국인 625명이 세계평화 대합창을 하고 있다.

칠곡군 왜관읍 칠곡보 생태공원 일원에서 지난 11일부터 15일까지 개최된 `제1회 낙동강세계평화 문화 대축전`이 성황리에 행사를 마쳤다.

11일 성화 점화로 평화의 불을 밝히며 시작한 이번 행사는 15일 저녁 열린 `낙동강세계평화 콘서트`에 이어 한국전쟁을 상징하는 숫자인 625명의 내·외국인이 대거 참가한 `세계평화 대합창`을 끝으로 5일간의 일정을 마무리했다.

세계평화 대합창에서는 `우리의 소원`, `손에 손잡고` 등의 합창곡으로 전세계에 평화의 메시지를 전했는데, 전체 참가자 중 절반 이상이 대학생과 중·고교생 등 자발적으로 참가한 학생들이어서 평화의 소중함을 일깨우려는이번 대축전의 의미를 더욱 깊게 했다.

낙동강전투 전승 재연 등 40여개 행사 다채

내·외국인 625명 페막식서 평화기원 대합창

성공적 개최로 국내 대표 호국축제 계기 돼

63년전 미 8군사령관 워커 중장은 전선의 장병들에게 “버티거나 아니면 죽거나(Stand or Die)”로 낙동강을 사수하라! 는 명령을 받은 장병들이 결사적으로 나서 낙동강지구 전투에서 승리한 것을 기념하는 전승기념 행사도 지난 12일부터 13일까지 이틀간 칠곡군 왜관읍 시가지와 석적읍 낙동강 둔치 일대에서 6·25 참전용사, 한·미 장병 그리고 시민 2만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시가행진과 전투 재연행사 등을 통해 성대하게 열렸다.

이번 재연행사는 1950년 8월부터 9월 하순까지 마산-왜관-영천-포항 일대에서 북한군 14개 사단의 총공세를 죽음으로 막아내 전쟁의 흐름을 바꾼 6·25 전쟁의 최대 격전지인 낙동강지구 전투를 국군과 인민군으로 만난 형제를 모티브로 한 실경 드라마 형식으로 재연해 그 의미를 더했다.

▲ 낙동강세계문화대축전 개막식.
▲ 낙동강세계문화대축전 개막식.

낙동강지구 전투는 6·25전쟁의 전환점이 되어 지금의 대한민국이 있을 수 있게 한 가장 중요한 전투였다. 전체 방어선 어느 한 곳이라도 뚫리면 대한민국이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될 절체절명의 위기 속에서 전 장병들이 오직 구국의 일념으로 자신의 피와 목숨을 바쳐 쟁취한 처절하고 고귀한 승리를 일궜다.

이날 6·25 참전용사 100여명과 경북도와 칠곡군 호국단체가 직접 참가해 감격의 눈물을 흘렸으며, 육군 참모총장을 비롯한 70여명의 장군들도 참관했다. 또한 5일 동안 메인행사와 더불어 관람객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부대행사들이 많아 호응이 높았다.

행사기간 내내 열린 원예치료박람회는 `치유와 힐링의 공간`을 주제로 원예치료와 관련된 다양한 체험과 특강을 통해 다소 생소한 원예치료에 대해 알리는 좋은 계기를 마련했고, 향사 박귀희 명창 기념사업회 공동위원장인 김덕수, 안숙선씨를 비롯 김영임, 장사익 등 우리나라 최고의 국악명인 200여명과 채향순 무용단, 이용탁 지휘자가 이끄는 관역악단이 향사 박귀희 명창 20주기 기념 공연이 교육문화회관 대강당에서 열려 낙동강세계평화문화 대축전 관람객들에게 우리 전통 문화 공연을 선보여 큰 환호를 받았다.

▲ 향사 박귀희 명창 20주기 기념공연.
▲ 향사 박귀희 명창 20주기 기념공연.

마지막 날 오전 9시부터 오후 1시까지 열린 `낙동강 호국길, 자전거 대행진` 행사는 5천명이 넘는 참가자가 평화를 기원하며 낙동강 칠곡보 생태공원 일대를 자전거로 순례하는 대행진은 장관을 이뤘다.

낙동강세계평화문화대축전 추진위원회는 지난 5일간 대축전을 방문한 관람객을 총 15만명으로 집계, 예상 유치목표였던 10만명을 크게 넘어서 이번 대축전이 매우 성공적이었다고 평가했다.

▲ 낙동강 호국길 자전거 대행진 광경.
▲ 낙동강 호국길 자전거 대행진 광경.

정전 60주년을 기념해 호국과 평화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한국전쟁 참전국과 문화교류 및 우호관계를 강화하기 위해마련된 이번 대축전의 성공은 전국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주제와 구성이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특히 낙동강세계평화문화 대축전은 6·25전쟁과 호국을 주제로한 국내 유일의 평화축전이고, 전쟁과 평화를 체감해볼 수 있는 전시 및 체험 프로그램 24개, 문화행사 23개 등 47개의 프로그램이 다채롭게 구성해 운영했다.

백선기 칠곡군수는 “이번 낙동강세계평화문화대축전은 평화의 소중함을 다시 한번 일깨우는 자리가 됐다. 지금의 평화로운 일상을 너무나 당연한 것으로 생각하는 전후세대, 특히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 역사인식과 안보의식을 함양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 시가지 퍼레이드 모습.
▲ 시가지 퍼레이드 모습.

백 군수는 “낙동강 전투의 치열한 역사를지니고 있는 칠곡이 명실상부한 `호국의 고장`으로 자리매김 하는데도 이번 낙동강 세계펑화문화대축전이 크게 기여했으며 내년에도 축전 추진을 위한 국비예산이 확보된 상태인 만큼 칠곡을 넘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호국, 평화의 축제로 발전시켜 나갈 것”임을 약속했다.

칠곡/윤광석기자 yoon777@kbmaeil.com

기획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