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적전분열(敵前分裂)이 염려된다

등록일 2013-09-09 02:01 게재일 2013-09-09 19면
스크랩버튼
`이석기 내란음모·선동`혐의 사건 수사가 진행되는 와중에 심각한 스캔들이 터졌다. 채동욱 검찰총장에게 11살 된 아들이 있다는 보도가 한 일간지에 보도된 것이다. 이에 대해 채 총장은 “보도 내용은 본인이 전혀 모르는 일”이라 했고, 검찰 내부망에 올린 해명글에는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강한 어조로 부인했다. 이같은 스캔들사건의 당사자는 `부인`과 동시에 “해당 언론사에 민·형사책임을 묻겠다” 혹은 “가능한 모든 법적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하는 것이 상례이다. 그런데 채 총장은 그런 말을 하지 않았다. 말은 안 해도 그렇게 할 생각이었을까. 뭔가 찔리는 바가 있어서일까.

검찰은 그동안 국민의 박수를 크게 받았다. 전두환 추징금 문제를 시원하게 해결했다. 지난 어느 정권도 해결하지 못한 일이었다. 그리고 지금은 `이석기 사건`지휘를 맡아 종북좌파의 명운이 걸린 일을 수행하고 있다. 검찰이 보여준 그 기세라면 이 사건도 국민들의 속을 시원하게 만들어주리라 믿어졌다. 그런데 난데 없이 `혼외 아들`의혹이 한 신문에 자세히 보도됐다. 그것도 대표적인 보수언론사였다. 국민들은 그 속사정이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박근혜 정부 출범때 채 총장은 청문회에서 100점을 받은 `희귀한 공직후보`였다. 민주당으로부터 `파도남`이란 칭송까지 들었다. 파도 파도 미담만 나온다는 뜻이었다. 야당은 으레 청문회에서 무슨 꼬투리든 잡아내기 마련이고, 털어서 먼지 안 나는 사람은 없으니 늘 후보자를 곤욕스럽게 만든다. 그런데 당시 민주당은 채 총장을 극찬으로 일관했다. 그 이유가 새삼 궁금해진다.

취임후 채 총장의 생각이 청와대 민정·여당·법무부의 생각과 많이 달랐다고 한다. 원세훈 전 국정원장 사법처리에서 황교안 법무장관은 “선거법 위반을 적용하기 어렵다”는 의견을 냈지만, 채 총장은 이를 거부하고, 원 전 원장을 선거법 위반 혐의를 적용해 불구속 기소했다. 검찰의 독립성을 지켜낸 것은 좋으나 법무부와의 사이에 냉기류가 흐르게 된 것만은 피할 수 없다. 게다가 검찰은 국정권 댓글 관련 사건 첫 공판에서 비난의 소리를 내놓았다. “무차별적으로 종북 딱지를 붙이는 신종 매카시즘의 행태를 보였다”고 말한 것이 정부와 여권을 크게 불편하게 만든 것이다.

청문회 당시 야권으로부터 `극찬`을 받은 일과 좌파 논리인 `신종 매카시즘`은 연관성이 없는가. 이런 검찰에 `종북문제`를 맡길 수 있겠는가. 이석기 편 변호사 21명과의 법리논쟁에서 검찰이 이길 수 있겠는가. 이석기 조사, 국회 자격심사, 종북 정당 해체 등이 논의되고 있는 지금 정부기관 간에 자중지란이 일어나 적전분열양상을 보이는 것은 매우 염려스럽다. 어떤 형식으로든 정리부터 하고 넘어갈 일이다.

기자수첩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