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염소 제조 허가부터 `상식 밖`

남보수기자
등록일 2013-03-07 00:25 게재일 2013-03-07 4면
스크랩버튼
구미케미칼, 유동인구 1만명 도심 인근 입지<br>염소 대량 누출땐 불산보다 훨씬 피해 심각<br>제조 허가 3개월만에 사고, 인재나 다름없어

속보=지난 5일 염소 가스 누출사고가 발생한 구미케미칼 공장 주변은 각종 건물이 밀집한데다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으로 도심이나 다름없는데도 유독 물질 취급공장이 가동되고 있었다는 사실에 주민과 근로자들은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특히 사고공장 반경 500m 이내는 구미세무서, 소방서, 외환은행, 대구은행과, B/S 호텔, 공단종합상가가 있고 SS상가는 식당이 빼곡히 입주해있다.

또 반경 1.5㎞ 이내에는 파라디아APT 1천280세대, 3주공APT 200세대, 지택ENC사원APT 160세대 등 아파트 1천700여 세대와 회사 내 기숙사, 종합병원 등 18개 상가 344개 점포가 집단을 이루고 있다.

이처럼 도심이나 다름없는 지역에 유독물질 취급공장이 들어서 가동하다 누출사고를 낸 데 대해 시민들은 납득이 가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사고를 낸 구미케미칼 공장부지는 1987년 3월 구미화학 공장으로 설립허가를 받은 뒤 2003년 9월 탄산나트륨 제조허가, 2005년 가성소다(양재물) 제조허가를 받았다.

그후 1999년 7월 이 회사는 사명을 (주)구미케미칼로 바꾼후 법인으로 등록해 지난해 12월 염소 충전 시설 허가를 받고 가동하다 이번 염소 누출 사고를 일으켰다.

이 업체가 처음 허가받은 화학물질은 탄산 나트륨과 가성소다 제조다.

하지만 지난해 12월경 구미시가 추가 허가를 내준 염소 제품은 이전 취급하던 화학물질과는 차원이 다르다.

특히 염소는 허용농도가 1ppm 이상일 경우 독성이 매우 강해 제2차 세계대전 때 독일의 유태인 살상용으로 쓰였다.

액화 염소 1ℓ가 기화되면 400ℓ가량 팽창되는 점을 감안하면 만약 이날 염소가 대량 누출됐다면 지난해 9월 발생한 불산누출 사고보다 더 심각한 상황이 전개될 수도 있었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당시 불산 누출 지역인 임천·봉산리는 전답 등 농경지가 대부분이고 주민도 300여 명 정도였지만 구미케미칼 공장 인근에는 아파트주민 5천여명과 기업체 근로자, 금융권, 세무서, 병원, 상가 등 유동인구만 1만여 명이 넘기 때문이다.

시민들과 인근 공장 근로자들은 이러한 유독성 공업물질을 취급하는 허가를 인구밀집지역에 내준 데 대해 이해 못하겠다는 반응이다.

지이티 근로자 김모(34)씨는 “눈만 뜨면 쳐다보는 곳이 구미케미칼이지만 여태까지 저곳에서 유독성 화학제품을 생산하는지 몰랐다”며 “왜 이런 곳에 언제 대형 사고가 날지 모르는 저렇게 위험한 공장이 들어섰는지 불안하다”고 불만을 터뜨렸다.

구미/남보수기자 nbs@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