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부 특감 대상에 상당수 포함 가능성<Br>최근 잇단 비리사건 불똥 튈까 전전긍긍
교육과학기술부가 교육지표 허위 공시 및 입시관리비 등 교비 회계 부당 집행 등에 대한 특별감사를 예고하자 지역대학들이 전전긍긍하고 있다.
교과부는 내달부터 5월까지 3개월간에 걸쳐 전년대비 신입생 충원률 및 취업률이 높은 대학, 민원 등이 제보된 대학 등을 규모별로 안배해 대상 대학을 선정, 특별감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특별감사 결과 위법, 부당한 지적사항에 대해 관련자는 징계 및 고발 조치하고, 해당대학에 대해서는 행·재정 제재 등 비위에 상응하는 강력한 조치를 취할 예정이다.
이번 감사는 포항대를 비롯, 연이어 터지는 대학의 교비횡령 의혹이 도를 넘었다고 보고, 교과부가 특별감사를 벌이는 것.
특별감사 방침이 발표되자 지역대학들은 불똥이 어디까지 튈지를 가늠해보며 전전긍긍하고 있다.
최근 지역에서는 포항대, 대구공업대 총장들이 잇따라 구속됐다. 또 다른 총장은 실형을 받고 집행유예로 풀려나 자택에서 칩거하고 있고, 일부 대학은 검찰조사가 진행되고 있는 등 신학기를 앞두고 어느해보다 비리로 몸살을 앓고있다.
지역대학들은 이번 특별감사에 어느 대학이 포함되느냐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향후의 파장에 대비하느라 어수선한 모습이다.
교과부는 신입생 충원율과 취업률이 갑자기 높아진 대학, 허위공시 의심 민원이 제기된 대학을 중심으로 하겠다고 밝혀 대구경북권 4년제, 전문대학이 상당수 포함될 가능성이 많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사태가 확대되자 일부 대학들이 향후 대처방안을 두고 신경이 곤두서 있다. 그러나 학교 운영에 자신감을 보이는 몇몇 우량 대학들은 “이번 사태가 진정되면 건전한 대학들은 학생과 학부모로부터 인정받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등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지역대학의 한 관계자는 “취업률 부풀리기는 한 대학만에 국한된 것이 아니고 상당수 대학들도 자유롭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며 “대학이 마치 비리의 온상으로 비쳐지는 것 같아 마음이 무겁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정부의 대학평가지표 자체가 수도권에 유리한 문제점이 있는 것은 제쳐두고 지방대학이 마치 비리대학으로 매도되고 있는 것 같다”며 “차제에 평가지표 배점을 조정하는 등 제도개선도 뒤따라야 할 것”이라며 볼멘소리를 냈다.
/이창훈기자 myway@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