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연간 운영비 20억 중 10억만 확보 울릉·독도 해양연구기지 반쪽 전락

김두한기자
등록일 2013-02-04 00:12 게재일 2013-02-04 9면
스크랩버튼
경북도·울릉군 재정난 이유 지원 난색<br>이달 준공… 6월 이후 개관 연기 검토
▲ 울릉군 북면 현포리에 건설 중인 울릉도·독도 해양연구기지. /김두한기자 kimdh@kbmaeil.com

【울릉】 동해바다의 종합적인 연구 및 독도 지키기 대책의 하나로 국비 등 사업비 150억원을 들여 신축 중인 `울릉도·독도 해양연구기지`가 운영비 확보 차질로 애물단지가 될 처지에 놓였다.

울릉군에 따르면 북면 현포리(웅퉁게) 일원 부지 2만 8천600㎡에 지상 2층, 지하 1층 규모(연면적 4천762㎡)로 신축 중인 해양연구기지를 이달 중 준공할 예정이다.

독도영토주권 강화 및 울릉도·독도 해역의 해양 생태 자원, 기상 등 동해바다를 종합적이고 체계적 연구·보전하고자 건립 중인 이 연구기지는 애초 지난해 7월 준공할 계획이었지만 예산, 공사 업체 부도 및 설계변경 등으로 준공이 지연됐다.

건물이 준공됨에 따라 울릉군은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측과 해양기지 위·수탁 업무 계약 체결 등 개관을 위한 각종 준비 작업에 착수키로 했다.

그러나 올해 연간 운영비 20억원 가운데 정부가 10억원만 배정해 운영 차질이 불가피하게 됐다.

경북도와 울릉군은 열악한 재정 환경 속에서도 국가 기관인 울릉도·독도 해양연구종합기지 건립에 86억원을 투입, 운영비를 단 한 푼도 부담하지 못하겠다는 입장이다.

특히 울릉군은 재정자립도가 14%대로 지원할 수 없고 해양기지 업무가 울릉군보다는 정부의 사업 수행기관이기 때문에 예산지원은 어렵다는 주장이다. 이 때문에 울릉군 등은 해양기지 개관 시기를 오는 6월 이후로 연기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개관 지연으로 인한 예산 낭비는 물론 울릉도·독도 해양자원 조사·연구 지원과 독도 바다사자 서식환경 연구,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식음료와 화장품 등 다양한 상품 개발에 차질이 우려된다.

KIOST 관계자는 “경북도와 울릉군이 재정난을 이유로 해양기지 운영비를 지원하지 못하면 무상 사용수익권을 넘겨받을 수밖에 없다”면서 “그러지 않으면 시설 운영 자체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김두한기자 kimdh@kbmaeil.com

동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