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근종·선근증 키우면 빈혈·심장 질환으로 진행”

등록일 2012-07-12 21:43 게재일 2012-07-12 13면
스크랩버튼
생리통·심한 생리출혈 증상 대표적… 일상생활 지장<BR>복강경 치료로 다발성 근종 환자들 개복없이 수술 가능
▲ 김도균 과장 (포항성모병원 산부인과 복강경센터)

근종·선근증은 40대의 여성 10명중 3~5명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여성 질환의 대표적 질환 중 하나이다.

근종은 자궁의 근육층 일부가 과다 증식해 덩어리로 뭉쳐진 양성 종양이다. 선근증은 자궁근육층 전체에 자궁내막이 침투해 심한 생리통을 일으키는 양성 질환으로 한 달에 한 번씩 엉덩이에 피멍이 들듯 생리통이 심하다.

그렇다면 이런 질병으로 가장 불편한 부분은 무엇일까?

생리통과 심한 생리출혈이 가장 대표적이다.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빈혈이나 심장 질환 등으로 진행 될 수 있고 일상 생활을 하지 못할 정도로 삶의 질을 떨어뜨릴 수도 있다.

크기가 더 커지면 방광이나 항문·직장 등을 압박해 소변을 자주 본다든지, 변비와 허리 통증 등 다양한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럴 때는 수술적 치료까지 필요하다.

어느 정도 커져야 치료가 필요한 지에 대한 정확한 기준은 없다. 증상을 일으키는 근종 및 선근증은 발생 위치, 크기, 수 등 다양한 요소로 증상이 다양해질 수 있다.

직경 1-2cm의 근종이라도 자궁 내 착상 가능한 공간에 발생하는 경우에 계속되는 질 출혈을 야기할 수 있어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자궁의 벽 또는 복강 내로 성장하는 근종의 경우 크기가 일정수준까지 커지지 않는 한 증상이 없을 수 있어 주기적인 초음파 검사를 통해 관찰만 하는 경우가 있다. 크기는 중요치 않고 해당 환자의 증상에 따라 치료를 할지 말지를 선택하면 된다.

선근증은 특히 환자의 주관적인 증상이 치료를 결정한다. 크기가 크든 작든, 환자가 견딜 수 없는 생리통으로 고생하며 심한 출혈이 있는 경우, 최초 약물 치료를 하고 효과가 없는 경우, 수술 치료를 한다.

암으로 발전할 가능성은 0.3%미만으로 매우 적다. 다만 폐경 이후에는 근종 크기가 대부분 작아지거나 증상이 없어지지만 반대로 크기가 커지는 경우에는 주의해야 한다.

이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은 현재까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약물요법은 일부 효과가 있다. 일시적인 근종의 크기 감소로 출혈, 생리통 등의 주 증상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수는 있지만 약물 치료를 중단 한 후에는 다시 이전의 크기로 성장해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치료적인 약물은 없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약물치료의 종류는 대부분 여성호르몬 성분의 약제, 체내 여성호르몬 생산을 일시적으로 중단시키는 주사제, 호르몬이 함유된 자궁 내 장치 등이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폐경을 얼마 남기지 않은 환자들에게는 좋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그렇다면 물혹과 근종은 무엇이 다를까?

물혹은 하나의 낭(풍선 같은 형체)속에 체액이 차 있는 것을 말하며 대부분 난소의 양성 종양이 이에 속한다.

물혹은 1~2달의 관찰 후 저절로 없어지는 기능성 난소 물혹이 있는 경우가 상당하므로 심한 통증 같은 증상이 없는 한 1~2달 동안 관찰이 필요하다.

반면 근종은 자궁의 근육층에 이상증식으로 발생한 근육세포 덩어리를 말한다. 따라서 물혹과는 엄연히 다른 질병이다.

대부분의 경우 자궁을 제거하는 치료법을 선택하지만 최근에는 자궁을 보존하면서도 근종만 제거하는 흉터없는 단일공 복강경 수술이 각광을 받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직경 10cm까지의 근층 내 근종까지 복강경으로 치료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마저도 경험 많은 부인과 의사의 기준일 것이다. 하지만 현재 급속한 의료 기술 및 발전된 기술을 가진 다른 나라 의료진과의 기술 교류를 통해 직경 17cm까지도 개복 없이 복강경 하 근종 수술이 가능해졌다.

또 다발성 근종 즉, 직경 8cm, 7cm, 9cm 등 여러 개의 근종이 자궁 속에 묻혀 있는 까다로운 근층 내 근종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병원에서는 자궁이 너덜너덜 해져 정상적인 임신 기능이 불가해 자궁의 적출이 불가피하다고 하지만, 임신을 원하는 여성에게는 치명적인 사형선고나 다름없는 고통스러운 선언이다.

현재 7~9cm크기의 근층 내 근종을 가진 다발성 근종 환자들도 자궁을 보존하면서 개복없이 수술이 가능하다.

이 환자들은 향후 임신도 가능하다.

이성혁의 열린 시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