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대 조은경 교수팀 원리 규명
교육과학기술부는 충남대 의학전문대학원 조은경 교수팀이 결핵을 항균제로 치료하면 세포 내에서 자가포식 시스템이 유도돼 결핵균을 효과적으로 없앤다는 원리를 규명했다고 23일 밝혔다.
감염질환인 결핵은 매년 전 세계 800만명 이상의 환자가 발생하며 200만명 정도가 사망하는 병이다. 우리나라는 특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국 중 결핵 사망률 1위라는 불명예를 안고 있다.
결핵에 감염되면 항균제를 최소 6개월간 꾸준히 복용해야 한다. 그러나 초기 치료에 실패하면 다양한 약을 시도한다. 이 과정에서 결핵은 약이 잘 듣지 않는 다제내성균으로 발전, 난치성이 된다.
조 교수팀은 결핵균에 항균제를 쓰면 결핵균체와 숙주세포에서 활성산소가 만들어지며 이 활성산소의 신호를 받아 자가포식 현상이 난다고 밝혔다.
자가포식은 영양분 부족과 같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세포가 스스로 내부 구성물질을 파괴해 항상성을 유지하는 방어기전이다.
조 교수팀이 자가포식 유전자가 결핍된 초파리에 어류결핵균을 감염시키고 항균제로 치료한 결과 자가포식이 결핍된 초파리들은 항균제 치료에도 생존율이 크게 낮았으며 균수도 많았다.
세포 내 자가포식 시스템이 결핍되면 성공적인 결핵 치료가 어려운 것이다.
조 교수는 “결핵균 치료시 외부물질인 항균제와 결핵균에 의한 비특이적 염증이 나타날 수 있지만 이와 동시에 자가포식 시스템이 작동돼 잠재적으로 숙주에 해를 끼칠 수 있는 과도한 염증반응을 억제한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