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갑상선 암 10년 사이 5배 이상 증가

등록일 2012-05-22 21:43 게재일 2012-05-22 13면
스크랩버튼
■ 가장 흔한 암, 갑상선암(上) <br>  평균 60세 발병… 연령 증가할수록 높아<br>현대 환경이 이전보다 갑상선에 더 나빠
▲ 문성수 과장 (동국대 경주병원 내분비내과)

갑상선은 목의 중앙에 위치하는 무게가 약 12~20g 정도의 나비모양의 내분비기관입니다.

갑상선은 방패모양의 갑상연골(아담의 사과) 아래에 있는 샘이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갑상선은 주로 요오드를 흡수해 갑상선 호르몬을 생산하고 분비하는 일을 하며 분비된 갑상선 호르몬은 뇌, 간, 심장 등 우리 몸의 곳곳으로 이동해서 몸의 성장과 발달, 열 생산, 영양분의 기초신진대사를 조절하는 등 중요한 일을 합니다. 예를 들어 선천적으로 갑상선호르몬이 결핍된 경우에는 심각한 지능발달장애와 성장장애를 보입니다. 그래서 갑상선호르몬은 우리 몸의 필수적인 호르몬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갑상선 질환은 크게 기능에 이상이 있는 경우와 갑상선에 혹이 생긴 경우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갑상선 기능 장애는 갑상선 호르몬이 우리 몸에서 필요한 양보다 많거나 적을 경우에 해당되며 각각 갑상선 기능 항진증과 기능 저하증으로 불립니다. 이러한 경우는 대부분 약물을 복용해 치료하게 됩니다. 갑상선 기능 질환은 대부분 만성적인 경과를 보이지만 치료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갑상선에 생기는 혹은 결절이라고 말하는데 소위 말하는 양성(물혹)과 악성(암)으로 나눕니다. 갑상선 결절은 최근 들어 초음파 등 영상진단기구의 사용이 빈번해지고 건강검진의 보편화로 인해 그 발생률이 급격한 증가를 보이고 있습니다. 보고에 의하면 초음파 검사를 하면 전인구의 30-50%정도에서 갑상선 결절을 발견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발견된 결절 중 약 5%에서는 암으로 진단되니 그 발생률이 어느 정도인지 쉽게 짐작할 수 있습니다. 갑상선암은 최근 발생률이 10년 사이 5배 이상 증가해 우리나라에서 모든 암중에서 가장 흔한 암으로 이미 자리매김 했습니다. 갑상선암 발생은 평균연령 60세 정도로 일반적으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생률이 증가하고 남자보다는 여자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최근 1cm 미만의 갑상선 미세암의 발생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영상진단장비와 건강검진이 널리 보급되어 갑상선암이 조기 발견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러나 미세암 외에도 진행된 암의 발생도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단순히 검진에서 많이 발견되는 것 외에 갑상선암의 발생 자체도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러므로 현대사회의 환경이 이전보다 갑상선에 더 해로운 것이 아닐까하고 추정합니다.

작년에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 사고 이후 가장 염려되는 암이 갑상선 암입니다. 1986년 구소련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사고 이후 사고주변지역의 6천명 이상의 소아, 청소년이 갑상선암에 걸렸다는 보고가 있어 일본에서는 갑상선암이 발생되기 쉬운 어린이를 대상으로 평생 동안 검진을 실시하기로 했습니다. 한 때 태평양 건너 미국서부지방에서 후쿠시마 원자력 사고 후 갑상선암을 예방하기 위해 요오드를 복용하거나 요오드를 포함한 음식 섭취를 늘리는 해프닝이 있기도 했습니다. 해당 사고 인근 지역에서 고농도의 요오드를 방성능 피폭 전에 복용하는 것 외에 타 지역에서 요오드를 섭취를 늘리는 것은 암 예방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산재보상 문답풀이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