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사면초가 위기 통합진보당

등록일 2012-05-03 21:40 게재일 2012-05-03 19면
스크랩버튼

통합진보당의 4·11 총선 비례대표 경선과정에서 광범위한 투표 부정이 사실로 확인된 것은 가히 충격적이다. 조준호 진상조사위원장은 2일 기자회견을 통해 “비례대표 후보 선거가 선거관리 능력 부실에 의한 총체적 부실, 부정선거라고 규정한다”며 조사결과를 공식 발표했다. 과거 자유당 정권이나 군사독재 정권 시절을 연상케하는 `부정선거`가 도덕성을 지고지순(至高至純)의 가치로 표방하는 진보정당의 자체 조사 결과라는 게 도무지 납득하기 어려울 정도로 심각한 사안이 아닐 수 없다. 더욱이 이정희 공동대표가 지난 3월 서울 관악을 야권연대 경선 여론조사 조작 파문에 책임을 지고 사퇴한 악몽이 채 가시기도 전에 부정선거 문제가 발생해 통합진보당은 사면초가의 위기에 직면하게 됐다.

하지만 통합진보당은 지난 4월17일부터 5월1일까지 실시한 조사 결과만 발표했을 뿐 뚜렷한 수습대책을 내놓지 못했다. 조준호 위원장은 “당원의 뜻과 민의가 왜곡되고 국민에게 질타받게 된 것에 대해 무거운 책임감을 통감한다”고 밝혔지만 당내 상황은 책임소재를 놓고 계파간 이전투구 양상으로 비화될 조짐이다. 당권파인 이 대표 측은 진상조사 결과에 동의할 수 없다고 반발하면서 `정치적 의도`에 경계심을 표출하고 있다. 반면 비당권파는 조직적 부정이 없었다고 하더라도 심각한 절차적 하자가 확인된 만큼 당권파가 책임을 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당권파와 비당권파 중 과연 어느 쪽의 주장이 진실에 부합하는 지는 알 수 없지만 19대 총선에서 13석을 확보해 원내 제3당으로 부상한 공당으로서 취해야 할 책임 있는 자세가 아닌 것은 분명해보인다. 이념과 노선 갈등으로 분열과 통합을 반복해온 진보정당이 이번 사태를 수습하는 과정에서 어떤 결론을 내릴 것인지는 전적으로 그들이 선택해야 할 몫이다. 다만, 한가지 명심해야 할 것은 부정선거 문제를 제대로 해결하지 않으면 통합진보당의 장래를 결코 보장할 수 없다는 점이다. 아울러 대선승리를 통한 정권교체의 유일무이한 방책으로 삼고 있는 민주통합당과의 야권연대 향배에도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이번 총선을 통해 외연이 확대된 진보세력의 지지기반을 상실할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오피니언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