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나타나는 증상… 전체 인구 90%이상 경험<BR>뇌종양 등 원인있는 이차성·일차성으로 나눠져<BR>수일에 거쳐 진통 심해지면 전문의 진찰 필요
두통은 머리에서 느끼는 통증이며 경한 정도에서 심한 경우로 증상 또한 다양하고, 인류의 역사와 함께 계속돼 온 증상이며 질병이다. 기원 전 7세기 수메르인의 서사시가 쓰여 있는 점토판에는 오늘날 편두통을 묘사하는 두통, 눈의 번쩍거림, 눈이 침침해지는 증상 등이 기술돼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허준이 선조의 명에 의해 동의보감을 집필하였고 두통에 대한 분류와 치료가 체계적으로 잘 정리 돼있다. 이처럼 두통은 인간에서 그 역사가 오래되었으며, 지금까지도 흔히 나타나는 증상이다. 두통은 전체 인구의 90%이상이 일생을 통해서 한번은 경험한다고 하며, 여자의 경우는 66% 남자의 경우는 57 %에서 1년에 한번이상 두통을 앓는다고 한다.
아이러니하게 뇌 자체는 두통을 느끼지는 못한다. 그러나 뇌를 둘러싸고 있는 여러 구조물은 두통을 유발한다. 즉 머리에서 통증을 느끼는 부위는 1) 머리에 피부, 동맥, 근육, 골막 등, 2) 눈, 코, 귀, 부비동, 3) 머릿속에 정맥동, 4) 뇌 하부에 경뇌막과 동맥, 5) 측두동맥과 경막외뇌동맥, 6) 뇌신경과 상부 경추신경 등이다. 이들 부위에 통증 유발시 두통을 느끼게 된다.
두통은 뇌혈관질환, 뇌종양, 뇌염, 뇌막염 등 원인이 있는 이차성 두통과 특별한 원인을 찾지 못하는 경우 일차성 두통으로 크게 나뉜다.
일반적으로 흔한 일차성 두통은 편두통, 긴장성 두통, 군발성 두통으로 세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편두통은 반복적으로 재발하는 발작성 두통·두통 발작 사이에 증상이 없으며 두통이 시작되면 4~72시간 지속된다. 맥박이 뛰듯이 욱신거리게 아프며 주로 머리 한쪽에 치우쳐 두통이 나타나고 구역·구토· 빛이나 소리에 대한 과민 반응이 동반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긴장성 두통은 스트레스나 정신적 긴장에 의해 유발되며 후두부나 목 뒤쪽이 뻣뻣하고 당기며 무거운 느낌이 지속되고 오전보다 오후에 증상이 더 심해진다. 수주에서 수년 이상 같은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가 흔하고 이차성 두통과 감별이 필요하다. 군집성 두통은 남자에서 흔하며 주로 야간에 눈 주위를 중심으로 동통과 충혈, 눈물과 콧물 및 안구 홍조와 편측의 손 저림증을 보이고 1시간 정도 지속 후에 사라집니다. 100% 산소를 흡입하는 경우 증상이 완화되는 특징이 있다.
이차성 두통은 외상, 뇌혈관 질환, 뇌기질적 질환, 약물과 관련성, 내과적 질환, 안면부 질환 등의 원인이 연관되어 나타난다. 이외에도 두통의 진단에 혼선을 줄 수 있는 질환으로 삼차신경통, 대상포진 후 신경통, 측두하악장애 등이 있으므로 전문의의 진찰이 필요하다. 흔히 두통이 잘 치유되지 않는 환자의 경우 장기간 지속적인 복합약제투여로 인하여 약제 유발성 두통으로 전화될 수 있으므로 가급적 적절한양의 복용이 중요하다. 여성 환자에서 임신의 경우 두통은 대부분 호전되거나 없어진다, 그러나 새롭게 두통이 발생했거나, 이전의 두통과 임상 양상이 변한경우에는 반드시 이차성 두통의 감별이 필요하다. 정상으로 확인된 경우는 급성 기에 소량의 아세타미노펜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출산 후 수유기에는 편두통이 모유수유가 긍정적 효과를 보인다는 보고가 있으므로 권장되고 있다. 노년기에는 편두통이 대부분 사라지지만 80세에도 약 5%정도 보일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대부분 기존의 편두통 증상은 완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두통을 보이는 환자에 약 15%에서는 이차성 두통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종양, 관자동맥염, 녹내장, 일과성뇌허혈증, 뇌졸중등을 주의해야 한다. 수면장애에 의해서도 두통이 유발될 수 있다. 양상은 야간, 이른 아침에 두통을 호소하며, 긴장성 두통 양상을 보인다. 그 유발 원인으로는 수면 무호흡증, 하지 불안증후군, 만성 통증증후군, 우울, 불안 등이 있다.
여러 유형의 두통은 대부분 일차성 두통에 해당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의사와 상담 및 진찰 후에 적절한 약제로 극복할 수 있다. 그러나 다음 아래와 같은 경우는 위험한 기질성 뇌질환을 의심케 하는 두통이므로 각별한 주위와 전문의의 진찰이 필요하다. 즉, 새로운 형태의 심한 두통이 갑자기 시작(이렇게 아프기는 처음이다. 망치로 맞은 듯하다), 수일이나 수주에 걸쳐 점차 심해지는 두통·과로·긴장·기침·용변 후에 두통, 55세 이후에 처음으로 두통이 시작되었을 때에는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