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말라리아 유행 주의보 치료 안 받으면 치명적

연합뉴스 기자
등록일 2012-04-26 21:24 게재일 2012-04-26 13면
스크랩버튼
경기 연천군·파주시 등 위험 지역 거주자 주의 당부<br>아프리카·동남아시아 지역 방문시 예방 약 복용해야

말라리아 위험 주의보가 내려졌다.

질병관리본부는 지난 24일 말라리아 유행을 앞두고 경기 연천군과 파주시 등 말라리아 위험 지역 거주자와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여행자들에게 주의를 당부했다.

국내에서 유행하는 말라리아는 삼일열말라리아로 열대열말라리아에 비해 사망률은 매우 낮으나, 치료를 받지 않으면 합병증으로 치명적일 수 있는 만큼 치료와 예방이 필요하다.

국내 말라리아 신고 건 수는 2008년 1천23명, 2007년, 2천192명, 2009년 1천319명, 2010년 1천721명이다. 지난해의 경우 비가 많이 내리는 등의 영향으로 785건에 그쳤다.

질병관리본부는 말라리아 환자가 통상 5~9월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점을 감안, 휴전선 접경 지역에서 근무하는 현역 군인에 대한 관리 대책을 강화해줄 것을 국방부 측에 요청했다.

또 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 지역 등을 방문하는 사람들은 출국 전 예방약을 복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말라리아, 어떤 질병?

말라리아를 일으키는 말라리아 원충은 얼룩날개 모기류(Anopheles species)에 속하는 암컷 모기에 의해서 전파된다. 우리 나라에서는 중국 얼룩날개 모기(Anopheles sinensis) 암컷이 말라리아 원충을 전파시킨다.

말라리아 원충에 감염된 모기에게 물린 후 인체에서 감염 증상이 나타날 때까지는 2주부터 수 개월의 시간이 소요된다. 오한, 발열, 발한의 전형적인 감염 증상이 나타나는데 원인 병원체의 종류에 따라 증상 및 특징이 다르다.

우리 나라의 토착 말라리아는 3일열 원충(Plasmodium vivax)으로 1970년대에 사라졌다가 `1993년 이후 다시 유행하기 시작했다.

◇증상은 오한·두통에서부터

감염된 모기에게 물린 후 인체에서 임상 증상이 나타날 때까지의 잠복기는 14일이지만 3일열 말라리아의 경우 길게는 1년 정도(5개월~1년 6개월)까지 간 속에 잠복해 있기도 한다. 발병 후 감염의 전형적인 증상이 순차적으로 나타난다. 한 두 시간 동안 오한·두통·구역 등의 증세가 나타나는 오한기가 먼저 나타나고 피부가 따뜻하고 건조해지고 빈맥, 빈호흡 등을 보이는 발열기가 3~6시간 이상 지속된 후 땀을 흘리는 발한기로 이어진다.

발열 이외에도 환자는 빈혈·두통·혈소판 감소·비장이 비정상적으로 커지는 등의 증세를 보인다. 빈혈은 적혈구가 파괴되면서 발생하고, 파괴된 적혈구와 헤모글로빈이 비장에 침착 되면서 비장이 커지며, 혈소판 감소증은 항혈소판 항체가 형성되어 생긴다. 열대열 원충에 감염되었을 때에는 여러 가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저혈압·뇌성 혼수·간질성 폐렴·심근 부종 등을 일으킬 수 있으며 자주 발생하는 질환에는 사구체신염이나 신증후군, 급성 세뇨관 괴사증, 흑수열 등이 있다.

◇백신 없다. 예방약 복용해야

말라리아 유행지역이라도 도시 지역은 대부분 안전하다. 예방약 복용 등의 화학요법은 모기에게 물리지 않을 수 없는 상황에서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예방화학요법을 사용하더라도 말라리아에 걸릴 위험은 있다.

방문할 지역의 말라리아 원충이 항말라리아 약제에 대해 내성이 생긴 원인, 약의 부작용 등 여러 가지 요인을 고려하여 적절한 예방약을 사용해야 한다. 또 예방약을 복용하는 즉시 예방효과가 생기는 것은 아니므로 말라리아 유행지역을 일시적으로 방문하는 사람들은 입국 2주 전부터 약을 복용하기 시작해야 하며 출국 후 4주까지 예방약을 계속 복용해야 한다. 단, 항말라리아 약제 중 아토바쿠온과 프로구아닐은 예외적으로 입국 2일 전부터 복용을 시작하고 출국 7일 후까지만 복용하면 된다. 아직 말라리아에 대한 백신은 없다.

/연합뉴스

이성혁의 열린 시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