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는 깨어있는 동안 보고 들은 것을 자는 동안 정리해 지식으로 만드는 만큼 수면이 두뇌발달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눈의 망막이 어둠을 감지하면 뇌에서 멜라토닌이란 신경전달물질이 분비돼 잠을 푹 자게 하고 뇌의 기억중추인 해마를 활성화시킨다.
멜라토닌이 가장 많이 분비되는 시간은 밤 10시에서 새벽 2시 사이로 이 시간에 충분히 자야 두뇌발달에 좋다.
수면시간이 긴 아이가 지능지수(IQ)가 높다는 것이 정설이다. 같은 유전자를 물려받은 쌍둥이라도 잠을 많이 잔 아이가 어휘력과 이해력 등의 점수가 높았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반면 잠이 부족한 아이는 신경질적이고 집중력이 떨어지기 쉽다. 2세 아이를 대상으로 한 최근 연구에 따르면 11시간 이상 자지 못하면 행동이상이 나타날 수 있다.
그렇다면 얼마나 자는 게 좋을까. 2세 이하는 최소 13시간을 자야 한다. 4세는 11시간, 6세는 10시간 정도 자는 게 좋다.
서울수면센터 한진규 원장은 11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수면은 뇌 기능과 성장, 판단력, 성격 형성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유아기 때부터 일정시간 이상 숙면하며 규칙적인 생활을 시켜야 한다”고 권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