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설명회·선진지 견학도 무색… 반대투쟁 가열
주민복지와 환경보전 등을 위해 꼭 필요한 공공시설이지만 설치지역 마다 주민반대에 부딪혀 사업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주민들은 악취 등을 발생시키는 혐오시설이란 인식과 땅값 하락 등 재산권 침해 등을 이유로 들고 있어 주민설득을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칠곡군 하수종말 처리장 건설을 놓고 구미시 인접 주민들이 칠곡군에 시설 이전을 요구하며 강하게 반대하고 있는데 이어 구미시에서도 가축분뇨 자원화 시설 설치를 놓고 해당 지역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구미시는 올해 구미시 관내 축산농가의 축분을 수거해 농사용 퇴비를 생산하는 축분처리자원화 시설을 건립할 계획이다.
자원화 시설은 올해부터 해양투기가 금지되는 1996년 런던 의정서 체결과 관내 축산 농가에서 발생하는 축분을 농사용 비료로 만들어 축협을 통해 농가에 판매하기 위한 것.
시는 이를 위해 총사업비 45억원을 투입해 2만9천700㎡(9천여평) 정도의 자원화 시설 조성용지를 물색해 왔다.
시는 그동안 구미시 선산읍 봉남리와 선산읍 도개면 가산리, 산동면 성수리 등 3곳의 예상 부지를 선정하고 주민설명회도 개최했다.
그러나 선산읍 봉남리는 토지소유자가 부지매각에 반대해 무산됐고 도개면 가산리도 주민반대에 부딪혀 진전이 없자 마지막으로 산동면 성수리 일원을 선정해 지난 13일 주민설명회를 개최했다.
시는 주민 설명회에 이어 이곳 마을주민들을 초청해 전남 무주의 친환경 공동 자원화 시설도 견학시켰다.
하지만 견학을 다녀온 성수2리 주민들과 달리 자원화 시설 부지와 인접한 성수1리 주민들은 설명회 및 무주시설 견학도 불참하고 자원화 시설 건립반대투쟁을 벌이고 있다.
주민들은 자원화 시설에 대해 혐오시설로 악취, 토양오염, 지하수 오염 우려가 있고 이로 인한 땅값 하락을 염려했다.
성수1리 주민 이모(45)씨는 “마을 주민들은 설사 악취 등 환경오염이 없는 최첨단 친환경 공법으로 건설한다 해도 똥통공장이 마을 인근에 들어오는데 가만 있을 주민이 있겠느냐”고 반대 이유를 밝혔다.
구미시 관계자는 “조성될 자원화 시설은 최첨단 공법을 도입한 친환경시설로 주민들게 아무런피해를 주지않는다”며 “지금은 과거와 달리 자원화 시설에 `환경신기술 성공불제`를 적용해 설치 이후 악취가 기준치 이상 발생시는 재설치 혹은 철거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기 때문에 과거처럼 무조건 설치하고 보자 식 사업이 아니라”고 설명했다.
구미시는 이곳에 자원화 시설건립을 추진할 방침이다. 이곳 예정지는 낙동강변에 있는 산동 축산폐수처리장과 인접해 있고 매입 부지대부분이 국유지(기획재정부소유)여서 토지매입이 쉽다. 또한, 마을과 3㎞ 정도 떨어져 주민피해도 상대적으로 적어 자원회 시설의 최적지로 꼽고 있다.
현재 구미시 관내 축산농가 소 돼지 총 사육두수는 약 9만5천두(소 4만 5천, 돼지 5만)로 축산농가의 연간 척분발생량은 7만3천여 t이다. 경북도내 축분발생량이 많은 영천(5만1천여t), 고령(5만700t), 의성(2만6천여t), 상주(1만5천600t)보다 축분 발생량이 많아 자원화 시설 설치가 시급하다.
/남보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