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국내 연구팀, 암 진행 막는 단백질 규명

연합뉴스 기자
등록일 2011-12-13 21:07 게재일 2011-12-13 14면
스크랩버튼
손상된 세포가 암으로 진행하지 않도록 막는 새로운 메커니즘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규명됐다. 이번에 밝혀진 단백질 신호체계를 활용하면 신개념 항암제를 개발할 수도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서울대 생명과학부 백성희 교수와 김현경 박사과정생 등이 암을 가장 강력하게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유전자(DNA) 단백질인 p53이 어떤 조건에서 활성화되는지 밝혀냈다고 12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리더연구자지원사업으로 진행됐으며, 논문은 세포연구에 세계적인 권위를 지닌 과학학술지 `몰레큘라 셀(Molecular Cell·분자세포)` 12월9일자 표지로 선정됐다.

논문이 주목받는 것은 유전체(유전자 전체) 분석 결과 단백질 p53이 RORα(알오알 알파)라는 단백질과 함께 작용한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규명됐기 때문이다.

백 교수는 “세포가 손상될 때 유전자 단백질 RORα가 증가하고, RORα가 p53의 분해를 막아 안정적으로 작용하도록 돕는다는 걸 발견했다”면서 “단백질 RORα의 신호체계를 밝힌데 의미가 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산재보상 문답풀이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