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포항복합화력발전소 건설 새 국면 맞나

최승희기자
등록일 2011-09-30 21:52 게재일 2011-09-30 11면
스크랩버튼

장기면·구룡포읍 2곳 후보지로… 시의회·사회단체 반기

유치 성공해도 지원금 갈등 등 후유증 최소화 방안 필요

포항복합화력발전소 건설 문제가 지역의 핫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 7월 초 중국에 기반을 둔 다국적 전력기업인 MPC와 협약을 맺은 포항시청은 5천MW급의 화력발전소를 포항에 짓기 위한 일정을 일사천리로 진행해 오고 있다.

포항시청은 과거와 달리 요즘 건설되는 화력발전소는 공해를 최소화하는 `그린 발전소`로 운영되는 데다 발전소가 들어서면`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수십 년에 걸쳐 수천 억원의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며 화력발전소 건설 당위성을 내세우고 있다. 발전소 이름도 그래서 `MPC 그린 포항복합화력발전소`로 지었다. 포항시청은 이달 초 남구 구룡포읍과 장기면·동해면, 북구 송라면·청하면 등 5개 읍·면 주민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한 데 이어 입후보지를 구룡포읍과 장기면 2개 지역으로 좁혔다.

10월 7일 최종 예정후보지가 결정되고 내년도 국가전력기본계획에만 반영만 되면 포항에 화력발전소를 지을 수 있다.

◇복합화력발전소 `위기`

박차를 가하던 화력발전소는 그러나 최근들면서 제동이 걸린 듯 한 분위기다. `급히 먹는 밥이 체한다`는 말이 있듯 포항시가 환경문제 등을 구체적으로 검토해 보지도 않고 경제성만 내세웠다가 결국 이 부분에서 발목이 잡혔다.

포항의 수 십여 개 사회단체와 시민을 대변하는 시의회가 포항시의 이 밀어붙이기 행정을 문제 삼고 나선 것이다.

사회단체들로 구성된 포항화력발전소건설반대 포항시민대책위원회는 “화력발전소는 최악의 공해기업인데다 포항은 이미 철강공단으로 환경오염이 극심하지만 포항시가 환경오염문제와 주민갈등에 대한 사전검토 없이 오로지 기업유치에만 혈안이 돼 일방적으로 화력발전소 건설을 계획하고 있다”며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포항경실련도 공론화 없는 화력발전소 유치는 중단해야 한다고 포항시를 가격하고 있다. 특히 경실련은 포항시가 무리하고 일방적으로 사업을 추진한 것은 반대 목소리를 잠재우기 위한 의도적인 행태라고 지적하고 있다.

경실련은 당장 모든 추진을 중단하고 화력발전소 유치가 타당한지 시민들이 판단할 수 있도록 공청회나 토론회·세미나 등 충분한 공론화 과정을 우선적으로 거쳐야 한다고 주장한다.

포항시의회도 29일 공식적인 입장을 밝혔다.

화력발전소 유치와 관련된 모든 행정절차를 중단하고 어업피해와 환경영향 조사를 포함한 타당성 조사용역이나 공청회 등 객관적 자료를 통해 시민 모두가 이해할 수 있는 공정하고 합법적인 절차를 밟으라는 것이다.

◇결국 남는 것은 `주민갈등`

화력발전소를 유치하든 못하든 주민갈등이라는 후유증은 남게 돼 있다. 유치에 실패했을 경우 보상금과 지원금으로 한껏 부풀었던 주민들의 기대감은 하루 아침에 물거품이 될 수밖에 없다.

유치에 성공한다 해도 지자체에 주어지는 지원금 사용을 둘러싸고 갈등할 가능성이 크다.

방폐장을 유치해 받은 지원금으로 시끌벅적한 이웃 도시 경주가 대표적 사례다.

구룡포에 살며 화력발전소 건립을 반대하고 있는 K씨는 “화력발전소를 건설하든 안 하든 반드시 주민갈등이라는 후유증은 남을 수밖에 없다. 발전소 건립이 무산되면 주민들은 기대심리에 한껏 부풀었다가 실망감에 젖을 것이다. 발전소가 건립되더라도 지자체에 주는 지원금을 둘러싸고 갈등이 생길 수 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특히 그는 “박승호 시장 입장에서는 이 사업이 포항에 기업을 유치하기 위한 수많은 MOU 중 1건에 불과하지만 해당 주민들에게는 엄청난 일이다. 주민들이 받은 상처와 후유증에 대한 책임은 누가 질 것이냐”며 “포항시는 후유증을 최소화 하기 위해 발전소 건립 후 주민들이 입을 피해를 지금이라도 솔직하게 공개하고 지원금 사용방법도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승희기자 shchoi@kbmaeil.com

기획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