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건설반대 포항시민대책위 김영헌 위원

최승희기자
등록일 2011-09-30 21:22 게재일 2011-09-30 11면
스크랩버튼

바다황폐화로 어민타격 불보듯

당진 주민 처참한 현실이 증명

포항복합화력발전소 건설을 반대하는 시민대책위원회가 최근 발족되면서 반대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대책위는 환경오염문제과 주민갈등에 대한 사전검토 없이 기업유치에만 혈안이 돼 밀어붙이기 식으로 진행되는 화력발전소 건설 계획은 당장 철회해야 한다며 포항시장의 사과까지 요구하고 있다.

포항화력발전소건설반대 포항시민대책위원회 위원이면서 구룡포지역 반대대책위 출범을 준비하고 있는 김영헌<사진>씨는 지역민들간 갈등은 없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 화력발전소 건설을 반대하는 이유는.

△포항 동해안은 과메기와 대게·성게, 전국생산량의 30%를 차지하는 오징어 등 풍부한 수산물이 유명하고 어민들에게 이 수산물은 생계 수단이다. 그런데 이 청정 동해안에 화력발전소가 들어선다면 환경오염으로 바다는 황폐화 될 것이고 어민들은 삶의 터전과 생계를 잃게 된다. 또 화력발전소가 건설되면 경제효과가 크다고 하지만 실상을 들여다 보면 미미하다. 특히 고용창출 효과의 경우 `창출`이 아니라 `대체`일 뿐이다. 발전소로 어업권을 잃은 주민들을 고용하는 것이 어떻게 고용창출이 되겠느냐. 또 주거·교육 등 예정후보지 주변의 정주여건이 워낙 열악해 발전소 직원 가족들도 꺼릴 것이 분명하고 어업권을 잃은 주민들도 하나 둘씩 마을을 빠져 나갈 것이다. 결국 청정바다와 무수한 어자원을 당장의 경제효과와 맞바꾸는 꼴 밖에 안된다.

- 최근 당진화력발전소 주민 피해를 직접 확인한 것으로 안다. 현실은.

△구룡포 반대대책위를 구성하기 위해 당진화력발전소 주변 주민들을 만났다. 현실은 한마디로 처참했다. 어민들의 터전이던 바다는 온배수로 황폐화 돼 대부분이 어업을 포기한 상태였다. 공동으로 낚싯배를 운영하거나 40여명은 발전소에 고용됐다. 이마저도 정직원은 2명에 불과했고 대부분이 청소나 경비 등 단순노동을 하며 한 달에 100여만원의 월급을 받는다고 했다. 그런데도 당시 만난 발전소 관계자들은 피해사례가 전혀 없다며 거짓말만 늘어놨다.

- 앞으로의 계획은.

△유치신청서 제출까지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 단기적으로 발전소 건설에 적극적인 장기주민을 설득하는 것이다. 사실 지금까지 반대대책위를 설립하지 않은 것도 찬성하는 주민들과 갈등과 반목을 우려해서다. 그러나 이제는 나설 때가 됐다. 장기적으로는 발전소 피해 상황을 좀 더 다양하고 면밀하게 연구해 포항시를 상대로 발전소건설을 유치철회를 요구하며 맞서려고 한다.

/최승희기자 shchoi@kbmaeil.com

기획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