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청소 소싸움은 매주 토·일요일 이틀간 오전 11시부터 각각 하루 10경기씩 진행된다. 출전하는 소는 축제성·일회성 행사인 전국 민속소싸움에서 8강 이상의 성적을 거둔 싸움소 가운데서 선발된 우수한 싸움소 300여 마리다. 현재는 청도 소 103마리를 포함한 301마리가 참가 등록을 해놨다.
사람이 타고 달리는 말 경주(경마) 등과 달리 소싸움에선 사람이 개입하지 않고 소끼리 싸운다. 부정이 개입할 소지가 적다는 뜻이다. 그러나 그래도 또 다른 조작이 있을 위험성에 대비해서, 출전하는 싸움소는 경기 전날 우사동(牛舍棟) 대기실에 입소시켜 주인으로부터 격리시킨다. 우사동에는 54개 대기실이 있고, 각 방마다에는 감시용 CCTV가 작동된다. 각 경기는 5분씩 6라운드까지 진행되고 도합 30분이 지나면 무승부 처리된다.
돈을 거는 방식은 4가지 뿐이어서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가장 기본적인 것은 한 경기의 승리소를 맞히거나 무승부가 날 것이라고 맞히는 단승식이다. 한 걸음 나아가 연속하는 2경기를 한 조로 묶어 맞히면 복승식이라 분류된다. 여기에다 승리 시간 맞히기가 첨가돼 시간적중 단승식, 시간적중 복승식이 생긴다. 어느 라운드에서 어느 소가 이길 것인가를 맞히는 게 `시간적중`이다. 경마, 경륜, 경정 등에서는 결승점 도착 시간이 중요하지만 소싸움에서는 어느 소가 어느 시점에 이기는가 하는 승리 시점 분석이 중요하다는 뜻이다. 무승부도 하나의 시간적중이다. 특히 무승부는 배당률이 매우 높다. 자주 나오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돈은 100원에서 10만원까지 걸 수 있다. 사행으로 변질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해 1인 1회 10만원 이하로 제한된다.
청도/이승택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