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낙동강 살리기 사업 첫 검증 합격점

서인교기자
등록일 2011-08-19 20:39 게재일 2011-08-19 11면
스크랩버튼

집중호우에도 상류지역 침수피해 없어

보·준설 등 핵심공정 97%… 10월 완공

물 연 13억t 확보, 수질도 2~3급 개선

경북도가 낙동강 살리기 사업에 올인하고 있는 가운데 지난 집중호우로 인한 1차 검증 결과 가시적 효과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강우 특성상 홍수기인 6, 7, 8월의 집중호우를 제외하면 9개월은 강이 메말라 물 부족을 겪는 등 물 빈곤지수(WPI)가 OECD 국가 중 20위에 머물고 있다.

따라서 경북도는 대규모 댐 건설이 아닌 4대강 살리기 사업을 통한 연간 13억t의 물확보로 물 부족을 해결해나가기로 했다. 또 수량 확보와 환경기초시설 확충으로 현재 4~5급수의 수질을 수영 가능한 2~3급수로 개선도 병행한다.

경북도는 낙동강 살리기 사업이 기후변화에 대응해 가뭄과 홍수를 예방하는 사업인 만큼 강을 중심으로 공간 구조 확대는 물론 본류와 지천을 연계해 발전하고 낙동강을 명품 녹색 터전으로 만들어 후손에게 물려주기로 했다.

실제 이명박 정부의 핵심 공약인 `녹색성장` 전략의 성패를 좌우하는 4대강 사업 중 낙동강 살리기 사업은 2009년 12월 달성보에서 `낙동강 살리기 희망 선포식`을 시작으로 전 구간이 착공된 이후 현재 웅장한 보들이 물을 가둘 준비를 했고 제방과 고수부지에 조성된 `희망의 숲`에 심어진 3만여 그루가 희망을 부풀게 하고 있다.

특히 4대강 살리기 사업은 정부와 시민 환경단체의 찬반여론이 첨예하게 맞선 가운데 인간과 자연의 생명을 살리는 희망의 강, 역사와 문화가 살아 숨 쉬는 장으로 만드는 `국토 재창조 종합 프로젝트`로 추진되고 있다.

경북도 4대강 살리기 어떻게 하나

정부는 4대강 살리기 사업에 16조9천억 원 중 낙동강에 9조8천억 원을 투입, 98.2%의 공정률로 계획 대비 99.5%의 진척도를 보이고 있다.

또 일반공구 98.1%, 턴키공구 98.2%, 보 공정률 97.1%의 진척을 보이고 있다.

여기에 지역업체가 주관·공동사로 51개 업체, 하도급업체 109개 업체 등 160개 업체가 참여해 지역경기 활성화는 물론 지역업체의 살길을 터 주기도 했다.

또한, 농경지 리모델링 공사에도 지역 49개 업체가 참여해 전체 55지구 중 38개 반입을 완료하고 17개 지구가 반입하고 있다.

골재적치는 7개 시군 12개 지구 중 8개를 완료하고 4개는 반입하고 있다.

특히 보상 추진은 영농 143억 원으로 99%, 지장물 118억 원으로 98.5%, 토지는 637억 원 중 91.4%인 583억 원을 보상했다.

경북도는 230km의 낙동강 물길을 살려 재해를 방지하고 맑은 물 공급에 나선다.

또 315km의 자전거 길과 쉼터, 게이트볼장도 만들고 수상비행장, 강수욕장 등 주민 레저공간을 제공키로 했다.

특히 도는 교목류 2만8천400주를 식재해 제방과 고수부지에 희망의 숲을 조성해 시원한 공간도 제공할 계획이다.

물길 살리기로 생산된 남산 4개 규모의 2억㎥ 준설토는 침수피해농지를 옥토로 만들고 앞으로 대구·경북에서 6~7년간 골재로 적치해 공단조성 등 공공재로 사용하게 된다.

도는 이밖에 농업용 저수지 둑 높이기를 통해 농업용수 확보와 주민휴식공간을 확보키로 했다.

도는 이와 함께 제방 25개소 54km와 둔치 8개소에 `명품 강변길 또는 테마 숲`도 함께 조성한다.

4대강 효과는 과연

경북도는 지난달 7일부터 10일까지 도내 전역에 평균 178mm의 집중호우(고령-우곡 407, 개진 383, 다산 377mm)가 내렸지만, 낙동강 상류지역은 별다른 침수피해 없어 4대강 사업 준설로 가시적 효과를 봤다고 밝혔다.

경북도는 전문가로 구성된 낙동강사업 홍수예방 점검반을 구성해 현장점검을 하는 등 현장, 중앙정부, 수자원공사, 시군 등 관계기관과의 협력시스템과 핫라인을 구축 운영하기로 했다.

또 현장 수위표 설치로 관리 수위별 비상대응 체계를 마련, 관심 주의 경계 심각 등 4단계별 상황에 따른 행동요령을 마련하는 등 사전재해 대책에 만전을 기하기로 했다.

한편, 경북도는 보 준설 등 핵심공정 97%를 웃도는 등 마무리 단계로 오는 10월8일 물 가두기를 시작으로 깨끗하고 안전한 낙동강을 선보이기로 했다.

/서인교기자 igseo@kbmaeil.com

기획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