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영세농가의 농기계 구매부담을 덜어주고자 12억원의 예산으로 자인면 북사리에 농기계 보관창고와 사무실 등 997㎡의 건축물과 콩 탈곡기와 파종기 등 40여 종 210대의 농기계를 갖춰 임대사업에 나섰다.
사용료도 임대기계의 0.2~0.5%로 저렴해 농가 부담은 5천원에서 8만원 사이로 농가의 이용률도 높은 편이다. 올 1월부터 6월 말까지 703 농가가 825대의 농기계로 280만여m의 작업면적을 기록하고 919만 5천원의 사용료 수익을 올렸다.
하지만, 핵가족과 산업활동을 위해 외지에 나가 있는 가족과 도우미의 일손을 기대할 수 있는 토·일요일에는 담당 공무원이 출근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농기계 임대를 사전에 차단하고 있다.
이는 토·일요일에도 당직자와 행사관련자가 근무하는 시민회관, 당직자가 근무하는 여성회관 등 사업소와의 형평성에도 어긋나는 것으로 보인다. 주 5일 근무제가 도입되며 공직자의 토·일요일 근무를 거론하는 것은 문제가 있지만, 지역 농민을 위해 농기계임대사업소를 개소한 경산시가 사용자의 편리보다는 실적홍보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은 잘못이라는 지적이다.
농민 이모(자인면)씨는 “농기계를 살 수 없는 농가를 위해 임대사업을 하는 것도 좋지만 정작 힘에 부쳐 가족의 힘이 필요한 토·일요일에는 농기계를 사용할 수 없어 안타깝다”며 토·일요일에도 농기계를 사용할 길을 마련해 줄 것을 원하고 있다.
산불예방을 위해 산불감시원을 채용하듯이 농기계임대를 위한 인력채용도 한 방법으로 거론되고 있다.
/심한식기자 shs1127@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