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세계 바닷길 잇는 과학시스템… 신성장 동력 이끈다

최승희기자
등록일 2009-07-30 22:39 게재일 2009-07-30 9면
스크랩버튼

물류처리 자동화… 선사·화주 각종 편의 제공

`원 스톱 게이트` 로 환경 오염서 직원들 보호

20여가지 첨단시설로 신속·안전 운영 자랑

포항영일만항은 대구·경북의 IT, BT, NT, ET 등 최첨단 과학인프라를 기반으로 한 `환동해 지식산업의 중심`을 표방하고 있다.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 정보, RFID(전자테그), 화물위치 추적, 항만 운영 정보, 해운 항만 물류 정보 통합,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물류종합 EDI네트워크, 물류처리자동화 등 각종 첨단 시스템이 갖춰져 항만 운영의 내실은 물론 항만 이용 선사 및 화주에 각종 편의를 제공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영일만항 컨테이너 부두에 설치된 20여 가지의 각종 시설물을 바탕으로 이뤄진다. 각종 첨단 시설이 구축된 영일만항의 주요 시설물과 장비 등을 둘러본다.

<편집자주>

■주요 시설물

♠운영본부

터미널 내부에서 발생되는 모든 상황들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곳이다.

특히 안벽, 야드, 게이트 등 터미널 내에서 혼잡, 정체 등이 발생하기 쉬운 주요 작업장의 현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해 효과적으로 운영을 유도한다.

♠CFS

외부트랙터가 직접 접근할 수 있는 게이트를 두고 야드와의 연계를 갖는 시설이다.

터미널 주요접근로에서 직접 연계될 수 있도록 터미널 후면에 배치돼 LCL 화물을 처리하며 위치 상 세관 검역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정문·출입관리동

게이트는 컨테이너터미널을 출입하는 컨테이너화물의 이동 및 관련 정보의 발생지이자 종착지다.

실질적으로 보안구역이 시작되는 장소로 운영방식은 보다 경제적이고 차량기사들에 대한 서비스를 높이기 위해 반출입 확인 및 검사작업을 하나의 게이트에서 처리하는 `원 스톱(One-stop)` 게이트 운영방식을 적용했다.

게이트 형태는 게이트 운영직원들을 외부 컨테이너 운송트랙터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 및 환경적인 오염으로부터 보호되며 컨테이너 번호확인 및 컨테이너 상부 손상 유무 확인이 육안으로도 가능한 브릿지형태의 터미널 야드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한 운영건물이 합쳐진 게이트건물 형태로 돼 있다.

♠세관 검사대

정문을 통과하는 컨테이너들과 CFS에서 처리되는 화물 등과 밀접한 업무관련을 맺고 있기 때문에 이들 시설과 인접한 곳에 위치해 있다.

이외에 정비공장, 근로자휴게소, 트레일러 대기 영역, 샤시, 야드트랙터 주차영역 등이 들어서 있다.

■하역 관련시설

♠수·출입 컨테이너

정상적인 표준 컨테이너로서 수출입 컨테이너를 취급한다.

♠비규격 컨테이너 블록

표준 컨테이너가 아닌 일반 비규격 컨테이너들로 구성되며 사용되는 장비는 RS(특수 스프레더 장착)이고 비규격 컨테이터 장치장 인근에 작업공간을 포함하고 있으며 총 168GTS 1개의 블록으로 설정됐다.

블록 내 컨테이너 배열형태는 일반 컨테이너 블록과 마찬가지로 안벽의 수평방향으로 놓이게 되며 한 블록의 길이는 181m, 폭은 25.5m이며 블록 당 최대 적재 가능한 열과 단적수는 6열 2단적으로서 장치장 전면부에 리치스태커와의 작업을 위해 이 같은 규모가 필요하다.

♠재유동 컨테이너블록

수림 및 검사를 위한 공컨테이너, 재유동을 위한 공컨테이너들을 적재하며 RS(Reach Stacker)에 의해 취급된다. 5단적 이상의 적재가 가능하고 1개의 블록으로 구성됐다.

블록 당 최대 가로 29열, 세로 6열로 적재가 가능하며 규모는 가로 181m, 세로 23.5m로 설정해 840TEU(168TGS)가 적재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했다.

♠On-Wheel 컨테이너 블록

야드의 위치는 터미널 뒤쪽 다른 일반 컨테이너 블록들과 별도로 위치하고 있으며 규모는 작업로 및 통로, 저장장소를 포함한 가로 211m, 세로 62.5m, 총 48TGS 규모를 가지고 2개의 블록으로 구성됐다.

야드 내 샤시의 배열 형태로서 On-Wheel 야드블록의 슬롯은 안벽에 사선 방향으로 위치, 이는 결합과 분리 및 주차 편의성과 동선을 고려한 것이다.

일반적인 On-Wheel야드의 슬롯 1개 규모는 폭 4.0m, 길이 15.0m의 공간으로 설계, 야드 내 슬롯은 야드트랙터의 진출입 및 하역·적재가 용이하도록 배치돼 있다.

이외에 온도조절 가능한 냉동컨테이너블록과 위험물 컨테이너블록 등이 있다.

■주요 장비

♠트랜스퍼(Transfer) 크레인 이송장비를 통해 선박에서 하역된 컨터이너나 선박에 적재할 컨테이너, 외부로 반출 또는 반입할 컨테이너를 일시적으로 적재 및 보관할 때 사용하는 장비로서 야드 내 컨테이너 적재 및 하역을 담당한다.

♠컨테이너 크레인

안벽에 선박이 접안하게 되며 야드로 이송할 차량에 컨테이너를 적재하거나 하역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포항영일만항 컨테이너부두 터미널은 싱그트롤리 타입의 방식을 적용한다.

컨테이너크레인의 이웃리치는 2천500~4천TEU급 선박에 대해서도 처리가 가능하도록 37.0m(13열)의 아웃리치를 가진 컨테이너크레인을 선정했다.

/최승희기자 shchoi@kbmaeil.com

기획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