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신청사 주차관제시스템 `무용지물`

이준택기자
등록일 2009-07-28 22:40 게재일 2009-07-28 7면
스크랩버튼
포항시의 현 청사 내외부에 설치돼 있는 무인요금정산기와 자동차단기가 무용지물로 전락하면서 당초 신중한 검토가 이뤄지지 못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신청사 건립 당시 주차장 유료화에 대비해 청사 내 외부에 중앙제어실 통합시스템을 설치했지만 유료화는 이뤄지 않은 채 시스템만 일부 가동되면서 설치비낭비와 함께 관련예산만 낭비되고 있기 때문이다.

포항시가 청사 내외부에 설치한 시스템은 중앙제어실외에도 자동차단기 6개소, 무인정산요금기 7개소.

포항시가 설치한 주차시스템은 차량출입시 자동으로 차량을 인식하고 출차시 주차시간을 계산, 요금을 부과하는 차량번호 인식방식의 주차관제시스템. 효율적인 주차관리와 인건비 절감을 목표로 설치된 당시로서는 첨단시스템에 해당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는 무료화로 인해 차단기 등은 사용하지 않은 채 방치되고 있고 무인차단기에 설치된 CCTV만 평상시에도 작동하고 있다.

청사 출입차량 번호 인식기능이 있어 차량안전사고 예방 및 청사 방범 등의 다른 용도로 활용하고 있는 셈이다.

포항시가 개청 당시 주차장 유료화를 검토하다 무료로 전환한 것은 청사 내외부 주차면이 총 721면으로 주차장 이용에는 불편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됐기 때문.

시는 특히 모든 시설물을 시민에게 무료로 개방한다는 취지와는 달리 유료화로 청사 방문객을 비롯한 시민들의 불편이 예상된다는 판단에 따라 무료화를 결정한 것이라고 밝혔다.

시의 이 같은 방침과는 달리 현재 북구청사는 평일 일정시간이 지나면 주차비를 받고 있다.

따라서 시는 당초 많은 예산을 투입해 설치한 시설물 들이 가동도 되지 않은 채 무용지물로 전락하면서 예산만 낭비했다는 지적을 면하기 어려워졌다.

당초부터 주차수요를 등을 제대로 감안하지 않고 유료화를 검토하면서 도입하지 않아도 될 `주차관제시스템 도입`에 따른 예산만 낭비했다는 것.

포항시는 이 같은 지적에 대해 지난 시정질문의 답변을 통해 “향후 주차수요 증가 및 주변 사항을 고려해 각계각층의 충분한 의견 수렴절차를 거쳐 장기적으로 유료화 등 보다 합리적인 주차장 운영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최근 시청사 인근 주민들은 이곳 일대 예식장건립에 반대하며 집회시위에 나서는 것도 예식장 측이 시청사 곳곳에 설치된 무료주차장 활용에 따른 교통혼잡을 우려했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준택기자 jtlee@kbmaeil.com

포항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