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당초 계획보다 늦어진 다음달 초에 부지의 선정을 발표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구성중인 심사위원단과 정치계 등 복수의 관계자에 따르면 “대구가 의료복합단지에 선정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대구 한 군데로 할 것인지, 아니면 다른 곳과 함께 두 군데로 할 것인지에 대해 논의가 진행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들은 또 “포항의 가속기가 들어서면서 대구는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며 “다만, 대구로 결정날 시에 다른 시군의 반발을 잠재울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대구시는 지난달 말까지 배부했던 홍보자료와는 달리 이달부터 배포한 홍보자료에는 포항의 가속기를 대구 의료복합단지의 핵심 사업으로 내놓고 있다.
아울러 대구의 첨단의료복합단지 선정에 힘을 쏟고 있는 정치권의 한 관계자에 의하면, “어차피 단일 사업이 아닌 복합단지는 정치권의 논리에 따를 가능성이 농후하다”며 “결국 청와대의 의중이 크게 작용한다면, 대구에 힘이 실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정작 의료복합단지를 추진하고 있는 대구시는 이 같은 분위기에 민감한 눈치다.
‘대구시로 결정나면 좋지만, 후폭풍을 염두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 관계자의 설명이다.
김형일 대구시 의료산업과장은 “대구가 선정되면 좋은 일”이라면서도 “TK라는 이유로 인해, 사실상의 대면접촉을 전혀 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김 과장은 그러면서 “아직 심사단의 구성이 완료되지 않았고, 서류를 제출하고 보건복지가족부 위원들에 의해 부지 실사만을 실시하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그 어떤 것도 예단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한편, 대구는 첨단의료복합단지 선정위가 밝힌 6개 입지선정요건과 10개 세부기준에서 다른 후보지에 비해 상당부분 유리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순원기자 god02@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