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고용시장에 훈풍이 불고 있다.
경영 정상화에 따른 호전세로 고용유지지원금 신청 업체가 눈에 띄게 줄고 있다.
13일 대구지방노동청 포항지청 고용안전센터에 따르면 지난달 고용유지조치계획을 신청한 업체는 포항 37개, 경주 58개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말 포항 51개, 경주 175개가 신청한 것에 비해 각각 15%, 50%가량 감소한 수치다.
포항의 경우 올해 초부터 안정세를 찾아가기 시작하면서 1월 30개, 2월 36개, 3월 30개, 4월 37개 기업이 고용유지조치계획을 신청하는 등 전반적인 보합세를 이어갔다.
반면, 경주는 올해 1월 107개로 전월대비 68개나 줄어들었고, 2월 100개, 3월 60개, 4월 58개 등 꾸준한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다.
이에 대해 노동부 관계자는 “근시일 내에 시장 회복에 따른 경영 정상화가 이뤄지면서 고용시장이 안정을 찾을 것”이라며 “지금 고용유지지원금 신청업체가 보합세를 나타내는 것은 정부 확대 조치에 따른 한시적 현상이다. 당장의 신규 채용은 어렵다 해도 우려했던 대규모 실직사태는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 3월20일께 정부는 당초 예산의 6배에 달하는 3천653억원을 투입, 고용유지지원금을 확대키로 결정했다.
이러한 조치에도 불구하고 이처럼 신청 업체가 감소하고 있는 것은 경기 호전세에 따른 시장의 ‘낙관적 전망’이 주요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자동차업계의 가동률이 높아지고, 철강 등 일부 산업이 경기 회복세를 띄면서 그동안 감산체제를 지속했던 기업들의 가동률이 정상화될 것이란 기대치에 의해서다.
경주지역에 주요 부품 하도급업체를 대거 거느린 현대차의 경우 1분기 공장가동률이 70%에 불과했지만 2분기에는 이를 85%까지 높인다는 계획을 지난 4일께 발표했다.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등 철강업계 또한 자동차 업계 등의 가동률 증가로 내수시장 확대 신호가 감지되자 잇따라 감산규모 축소 계획을 준비하고 있다.
철강업계로서는 지난해 말부터 현재까지 평균 20∼30% 수준의 감산체제를 유지하고 있지만, 자동차와 조선, 전자업이 활기를 띠자 이를 맞이할 준비를 하고 있는 셈이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고품질 제품을 중심으로 대부분의 가동률이 예년 수준을 회복해가고 있다”며 “내수시장은 물론 환율 정상화로 수출까지 다시 살아나고 있어 조만간 과거 수준의 가동률을 보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동북지방통계청이 발표한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대구지역 실업률은 3.7%를 기록했다.
이는 작년 같은 달에 비해서는 0.2%포인트 높아진 것이지만 전달대비로는 지난 2월 5.1%로 고점을 찍은 이후 3월(4.8%)에 이은 하락세다.
지난달 경북지역 실업률도 2.9%로 2월(3.3%)을 고점으로 전달(3.0%)에 이어 하락 흐름을 나타냈다.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해서는 0.5%포인트 높아진 것이다.
/신동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