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의료복합단지 유치를 하지 못하면 시장 해먹겠습니까?”
김범일 대구시장이 13일 오후 시청 기자실에서 가진 간담회에서 첨단의료복합단지를 대구·경북에 유치해야 하는 절박한 심정을 이같이 표현했다.
김시장은 이날 대구시와 경북도는 오랫동안 긴밀한 협조체제를 이어오고 있으며 대구시와 포항시를 중심으로 공동으로 추진해 시너지 효과를 내겠다며 입지선정부터 운영주체, 출연금에 대해 외국의 사례 등을 면밀히 검토해 김관용 경북도지사와 긴밀하게 협의하겠다고 밝혀 최근 지자체간의 불화설을 일축했다.
이와 관련해 정부의 첨복단지 세부평가 지침이 지난 11일 지자체에 전달된 이후 대구시는 대구 유치를 위한 제출자료 준비작업에 돌입하는 등 속도를 내고 있다.
첨복단지에는 신약개발지원센터와 의료기기개발센터, 임상시험센터, 바이오리소스센터, 동물실험센터, 신약개발생산센터 등이 들어서며 정부는 2009∼2038년까지 30년간 국비 1조9천642억, 시비 2천952억원, 민자 3조3천358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따라서 대구시는 정부에서 발표한 주거·의료·교육·환경 등 정주여건, 우수 의료연구개발기관 집적도 및 입주계획, 의료단지 부지확보 및 확장 용이성과 토지보상 진척도, 의료복합단지 유치에 따른 지역경제 파급효과 등 24개로 세분화한 평가기준에 대한 자료수집에 나섰다.
우선 다음달 9일까지 서류를 제출하기 위해 14일 산학협력단 회의를 열고 연구실적에 대한 자료 수집에 대해 논의하며 평가단을 상대로 홍보에 나설 계획이다. 또 첨복단지가 입주할 부지도 대구 신서 혁신도시와 수성의료지구, 성서 세천지구, 경산 등 5∼6 군데로 압축해 첨복단지를 운영할 주체와 출연금도 조만간 경북도와 협의에 나설 계획이다.
하지만 센터 건축비와 R&D 비용 등은 정부가 부담하고 조직과 운영비, 프로그램은 지자체가 자체적으로 마련해야 하는 등 운영주체와 출연금 등에 대한 표준안이 없어 애를 먹고 있다.
게다가 최근에는 타 지자체에서 평가단 추천인인 한국보건산업진흥원과 국토연구원·과학기술정책연구원·산업연구원 등 4개 기관 중 3개 연구기관장이 대구·경북 출신이라며 공정성에 시비를 걸고 있다.
이에 대해 대구시 관계자는 “정부의 첨복 유지에 필요한 서류가 방대하고 표준안이 없어 애를 먹고 있다”며 어려움을 토로하고 “타 지자체에서 평가단 추천인에 대해 공정성을 운운하고 있는 등 흑색선전으로 오히려 역차별을 받아 불이익을 받지 않을까 우려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첨복단지 입지결정은 의약품, 의료기기, 의료서비스, 국토계획 분야 전문가 240명의 풀 가운데 무작위로 뽑힌 60명이 평가를 하고 이를 토대로 국무총리실 산하 첨단의료복합단지위원회가 6월 말 최종 결정한다.
/이곤영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