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예천군 '쓰레기 대란' 위기

정안진기자
등록일 2009-05-12 20:04 게재일 2009-05-12
스크랩버튼
예천군과 영주시가 공동으로 추진키로 했던 광역폐기물 에너지 자원화 시설 설치 사업이 영주시의회의 예산 전액 삭감으로 사실상 사업 자체가 무산됨에 따라 예천군은 쓰레기 대란에 직면하고 있다.


예천군은 군내 4개 쓰레기 매립장 중 3개 매립장이 포화상태에 이르자 지난 2004년 100t 규모의 소각장 시설을 갖춘 광역쓰레기 매립장을 영주시와 설치키로 합의하고 매립장 조성사업비 250억원(국비 50% 지방비 50%) 중 지방비 부담분 70%를 부담키로 협약을 체결했다.


그러나 지난 3월30일 영주시의회가 “시의 쓰레기 매립장이 아직도 사용 연한이 몇 년 남아 있고 수년 뒤에는 더 좋은 기술의 에너지 자원화 시설이 개발될 수도 있다”는 이유로 소각장 설치 사업을 위한 국비 지원액 16억5천만원을 전액 삭감해 사실상 광역폐기물 에너지 자원화 시설 설치 사업을 위한 양 시·군 간의 협약이 파기됐다.


이로 인해 예천군은 광역쓰레기 매립장이 설치되기만 기다리며 포화상태에 이른 청복리 쓰레기매립장을 계속 사용하고 있었는데 광역매립장 사업이 무산돼 앞으로 신규 매립장 설치 때까지 이용할 장소가 부족해 쓰레기 처리에 비상이 걸렸다.


또 수년 전에 쓰레기매립장 설치를 위해 예천읍 우계리 등 2∼3개소에 부지를 선정한 상태에서 해당지역 주민들의 반발로 사업이 무산됐었다.


예천군으로서는 새로운 쓰레기 매립장 설치는 사실상 불가능해 짐에 따라 기존 매립장을 활용한 복원화 사업밖에 다른 대안이 없는 상태다.


군은 예천읍 청복리 쓰레기매립장에 매립된 쓰레기를 복원해 가연성과 불연성 쓰레기로 재분류한 뒤 이곳에 쓰레기 압축 소각 시설을 설치하는 안정화 및 복원화 사업에 대한 사업성 검토에 들어갔으나 200억 원이 넘게 드는 사업비 확보가 여의치 않아 쓰레기 대란이 우려되고 있다.



/정안진기자 ajjung@kbmaeil.com

종합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