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임 이영우 경북교육감의 권한은 막강하다. 이명박 정부 들어 4·15 학교 자율화조치로 중앙정부가 갖고 있던 권한 중 상당부분을 시·도 교육청으로 넘겨진 탓이다. 학교 자율화조치로 0교시 실시, 우열반 편성, 수준별 이동수업, 방과 후 학교, 수업 등 교육과정 운영 등의 권한이 학교장에게 넘어갔지만 전체적으로 조율하는 권한은 교육감이다. 학력신장방안 등 공교육 활성화 정책은 물론 고교 신입생 배정 방식, 고교평준화, 고교선택제 등에 대한 선택권도 교육감의 교육철학에 따라 강화될 수도 있고 약화될 수도 있다.
이 교육감은 4·29 경북교육감 선거에서 6가지 약속을 했다. 학력책임제에 의한 학습 부진아 없는 학교만들기를 천명했고, 사교육비 부담 확 줄이기, 안전한 학교만들기 등을 약속했다. 그래서 학부모들은 이영우 교육감에게 많은 것을 의지하고 있다.
▲당선의 일등공신 학부모 마음 읽어야
경북의 학교수는 모두 1천687곳이다.
유치원이 706곳이고, 초등학교 497, 중학교 281, 고교 194, 특수학교 7, 각종 학교 2곳이다.
이곳에서 배우는 학생들도 41만8천여명(유치원 3만1천883, 초등 18만7천309, 중학 10만182, 고교 9만6천807, 특수학교 1천393, 각종학교 360)이다.
학생수×2명만 해도 학부모 수는 83만6천여명이나 된다. 물론 이번 선거에서 투표를 포기한 학부모들도 많지만 어쨌든 유권자임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실제 이번 선거에서 초대 직선제 경북교육감을 탄생시키는데는 학부모들의 역할이 컸다. 아이들을 학교에 맡긴 학부모들은 제자식 다칠까봐 가슴졸이며 하루를 보내고 있다. 학교폭력, 그 끝은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학교폭력이 갈수록 은밀해지고 흉포화되면서 폭력에 시달리다 못한 아이가 세상을 등지고, 학교가기가 무서워 스스로 학업을 포기하는 학생들이 부지기수다.
하지만 일선 학교는 체면이 구겨질까, 학교 이미지가 손상될까 입조심 하는데만 열을 올리고 있다. 학교폭력 대책은 뒷전이고 학교체면이 우선이다.
이영우 교육감은 학교폭력, 사고없는 학교 범도민 운동을 벌이겠다고 학부모들에게 약속했다.
학부모들은 경북교육에서 안심할 수 있는 지역이 되길 바라고 있다.
▲학부모 바람은 공교육 바로세우기
학교는 이아들을 반듯하게 가르쳐 사회에 첫 발을 내딛게 하는 곳이다.
그래서 학교에서의 배움은 중요하다.
사정이 이런데도 학부모들은 공교육을 불신하고 있다.
아이들은 학교수업을 마치면 너도나도 할것없이 학원으로 간다.
사교육 열풍에 따른 학부모의 치맛바람에 아이들을 입시학원으로 내몰고 있다.
일선 학교는 이같은 현실을 그저 바라만 보고 있을 뿐이다.
이영우 교육감은 농산어촌이 많은 지역적 한계를 넘어 학력신장과 다양한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특색화 할 필요성을 가지고 교육정책을 펼쳐야 한다.
아직은 취임 초기라 이렇다 할 구상을 발표하지 않고있지만 지역 특성에 맞는 자율권을 최대한 보장하고 특색화, 다양화하기 위한 여러 방안도 내놓아야 한다.
학부모들은 이 교육감의 올곧은 교육정책을 간절히 바라고 있다.
무엇보다 학부모들의 간절히 염원하는 것은 사교육비를 줄이는 것이다.
아쉽게도 이 교육감이 무소불위의 권한을 행사할 수 있는 기간은 겨우 14개월뿐이다. 이 교육감이 내건 공약도 14개월의 임기동안 100% 실현되고, 빛을 볼 것으로 기대하는 학부모들은 많지 않다.
그렇지만 사교육비 때문에 주름살 늘어나는 학보모들의 마음을 헤아린다면 선거기간 내뱉은 사교육비 부담 확실히 줄이겠다는 공언(公言)이 공언(空言)이 되면 안된다.
공약은 반드시 지켜야 한다.
이영우 교육감의 딜레마는 자신의 교육철학을 철저하게 실현하는 것이 다음 선거에 유리한지, 불리한지를 계산해야 된다는 점이다.
이같은 약속을 지켜야만 내년 선거에도 승리를 거머질 수 있다.
/김성용기자kimsy@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