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직선제 경북교육감에 오른 이영우 경북교육감이 ‘스포트라이트’를 받으며 친정집으로 돌아왔다. 지난해 2월 퇴임한 지 꼭 1년 2개월만이고, 그의 교육감 임기도 1년2개월이다. 이영우 교육감에게는 앞으로 첫 직선제 교육감이라는 수식어가 붙게 됐다.
그는 이번 교육감 보선에서 42.24%라는 득표율을 얻었다. 이영우를 지지하고, 이영우를 사랑하는 충성맨들이 있었기에 교육수장에 오를 수 있었다.
▲선거 논공행상은 교육자치 말살 지름길
4·29 경북교육감 선거는 우려했던 대로 ‘경북대 사범대’와 ‘대구교대’라는 학연이 주요 변수로 떠올랐다. 말 그대로 초등출신과 중등출신의 대결구도였다.
3명의 후보가 출마했지만 다양한 공약 제시에도 불구하고 양강의 대결 속에 묻혀 버리게 돼 여전히 교육계에 학연이 무시할 수 없는 최고의 무기임이 다시 한번 입증됐다.
선거 운동기간 중 일부 교육공무원들의 줄서기나 학교장들의 특정후보 지지는 이번 선거 운동에서도 제기됐다.
결국, 이 문제는 이영우 경북교육감이 떠안고 가야할 최대 숙제이다.
선거에서 승리한 자는 웃고, 떨어진 자는 패배의 아픔을 곱씹어야 하는 게 선거법칙이지만 교육수장에 오른 만큼 분열된 교육계의 화합을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선거기간 중 제기되는 학연과 지연은 결국은 인사권과 긴밀한 관계가 있다.
신임 이영우 경북교육감은 인사위원회의 개방과 투명한 인사 정책을 통해 경북 교육의 신뢰를 얻어야 한다.
이른바 논공행상을 통한 내 사람 끌어주기나 차기 대권을 노린 전시성 행정이 이번 임기 중에도 계속된다면 좌초위기에 놓인 경북교육의 재기 기회는 영영 없어질 수도 있다.
경북교육청 노동조합도 경북교육계 안팎으로 분열돼 있는 교육계를 하나로 통합하는 작업과 함께 합리적이고 비전 있는 정책 운영을 통해 실추된 신뢰를 다시 회복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주민들 손으로 직접 교육수장을 선택해 교육을 맡긴 상황에서 ‘뺏고 빼앗기는’ 교육정책이 돼서는 안 된다는 게 이유다.
이영우 경북교육감은 이들의 뜻을 겸허히 받아들여야 한다.
그래야만 진정한 교육자치를 실현할 수 있고, 이영우 경북교육감이 말한 것처럼 경북 100년의 아름다운 동행 이영우와 함께 나갈 수 있다.
▲경북도민을 위한 교육감이 돼야
경북교육계와 학부모들은 ‘이영우 호’에 거는 기대는 크다.
이 교육감이 외치는 명품교육도 좋고, 학력신장도 중요하지만 경북교육의 미래를 위해서는 도민을 껴안는 수장이 돼야 한다.
첫 주민 직선교육감으로 뽑혔지만 주민의 교육정책을 펼치기 위한 체제를 마련한다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동안 교육계 일부 관계자만의 참여로 결정했던 간선제 교육감 선거와 달리 유권자들이 이영우를 뽑았다는 사실도 명심해야 한다.
학부모를 포함한 일부 교육계 관계자가 아닌 도민의 교육 수장이라는 차원에서 직선교육감의 어깨가 더욱 무거워졌다.
교육정책에서도 학교 테두리 속의 교육을 뛰어넘어 지역사회를 아우를 수 있어야 한다는 270만 도민의 요구를 받아들여야 한다.
선거과정부터 과도기적인 혼란에 빠졌던 만큼 새출발하는 경북교육에 대한 지역민들의 눈에는 비단 기대뿐 아니라 우려도 비친다.
주민직선제는 그 자체만으로도 지역교육의 독립적인 역량을 키울 수 있는 기회로 다가오고 있다.
교직원 단체를 비롯해 학부모 단체, 각종 사회단체들의 견제 속에서 독선적이고 획일적인 교육이 아닌, 정보를 함께 공유하고 교육수요자들의 요구에 맞는 현실적인 지역교육이 기대된다.
/김성용기자 kimsy@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