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28일 “선 대학입시제도 확립, 후 초·중·고 공교육 정상화를 해야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상춘재에서 전국 14개 대학 총장을 초청,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대입전형 방안, 학부대학의 교육역량 강화 방안을 주제로 간담회를 갖고, “대학입시제도가 잘 확립이 돼야 초·중·고 교육이 정상화되는 것”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특히 이 대통령은 대학입시정상화와 관련,“정부 주도가 아니고 대학 스스로가 주도해야 한다”면서 “여러분이 주도하고, 정부는 적극 협력하는 게 맞다고 본다”고 대학의 주도적인 역할을 주문했다.
이어 이 대통령은 “오랜 기간 이 문제(대학입시 정상화)가 거론돼 왔지만, 제 임기 중에, 여러분 임기 중에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헌신적으로 해 달라고 부탁드린다”면서 “대학 입시 정상화는 많은 분들이 오랜 시간을 갖고 신중하게 해야 한다고 얘기를 하는 데, 그것은 과거 60, 70년대 지식정보화시대 이전의 속도이고, 오늘 같은 디지털시대에는 정확한 자료를 바탕으로 개혁의 속도를 높일 수 있고, 빠르게 할 수 있다”고 말한 뒤 총장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했다.
사회를 맡은 노동일 경북대 총장은 “(대학교육)선진화 핵심은 (입학)사정관제이고,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마련 중이며, 총장들은 두 정책에 적극 동참하고 시행방안을 강구중”이라면서 “사정관제는 현재의 입학 전형 방법을 대체할 현실적 방안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동대 김영길 총장은 ‘대학학부 교육력 강화 방안’에 대한 발표를 통해, “21세기가 요구하는 인재를 바른인성과 융합지식을 갖춘 글로벌 창의인재”라고 정의하고 “이러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대학의 학부 교육이 더욱 내실화될 필요성이 있으므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김진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