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벽지나 커튼은 노랑, 파랑, 초록 등 원색을 적절히 사용해 발랄한 기운을 더욱 북돋워준다. 특히 파스텔 색상은 눈에 피로감을 주지 않아 아이방 꾸미기에 적당하다. 2. 4개의 벽면중 한 부분 정도는 아이가 좋아하는 만화 캐릭터나 동물무늬로 장식한다. 단, 패턴이 요란한 벽지를 방의 4면에 모두 사용하면 어수선하고 지저분해 보이므로 주의. 3. 취침, 놀이, 학습 등 여러가지 역할을 좁은 공간에서 모두 소화하려면 장식성보다는 기능성이 강조된 가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 침대를 예로 들면 단순한 침대기능보다 매트 아래 수납을 할 수 있는 서랍이 붙어 있는 것을 선택한다. 4. 가구의 소재는 철재보다는 목재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내추럴한 색상의 원목이나 저렴하면서도 튼튼한 MDF 소재를 사용하여 다양한 수납공간을 만들어 준다. 5. 엄마가 직접 만든 소품을 하나쯤 장식해 두면 아이들이 좋아한다. 그림 액자나 방석 등 작은 것에서도 아이들은 뿌듯해한다. 6. 아이들의 참여를 유도한다. 예를 들어 MDF 박스에 색을 입힐 때 아이들에게 직접 페인트칠을 하도록 권유하면 아이들도 자신의 방을 스스로 꾸민다는 생각에 더욱 재미있어한다. 7. 바닥재와 벽지는 오염이 덜 타는 기능성 제품을 선택한다. 특히 나이가 어릴수록 생각 없이 여기저기 낙서를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미리 대비하는 수고를 더는 요령. ▲한쪽 벽면은 잔잔한 꽃무늬가 프린트된 벽지를 사용해 포인트를 준다. 아랫부분은 연두색 벽지를 사용해 안정감을 주고 경계부분에 띠벽지를 둘러 마무리. MDF 상자를 이용해 동화책을 수납하는데 상자 안팎에 쓰다 남은 벽지를 붙여 통일감을 준다. ▲미니 서랍장 안에 우유팩을 이용해 칸을 나누어주고 속옷과 액세서리를 가지런히 정리했다. ▲플라스틱 다용도 함에 각종 장난감을 넣어 침대 밑에 밀어 넣으면 방안이 깔끔해진다. MDF로 만든 미니 서랍장. 벽지를 조금 잘라 서랍 겉면에 붙이고 귀여운 동물모양의 스티커를 붙여 마무리한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2009-07-17
미국 위스콘신 대학 가와오카 요시히로 박사“4천만명 이상 숨진 스페인 살인독감과 유사” 인플루엔자 A[H1N1](신종플루) 바이러스는 계절성 독감바이러스보다 폐를 손상시킬 수 있는 능력이 강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고 AFP통신 등이 13일 보도했다. 미국 위스콘신 대학의 가와오카 요시히로 박사는 신종플루 바이러스가 상기도를 거쳐 폐 깊숙이 들어가 증식함으로서 폐렴을 일으킬 수 있는 능력이 계절성 바이러스보다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미플루 등 현재 사용되고 있는 2가지 항바이러스제와 실험단계에 있는 또 다른 2가지 항바이러스제가 잘 듣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가와오카 박사는 말했다. 가와오카 박사는 미국의 신종플루 환자들에게서 채취한 신종플루 바이러스와 몇 가지 계절성 독감바이러스를 생쥐, 족제비, 짧은꼬리원숭이, 특수하게 키운 미니돼지 등에 주입했다. 그 결과 생쥐, 족제비, 원숭이에서는 신종플루바이러스가 계절성 독감바이러스보다 폐에 보다 심한 병변을 일으켰다. 신종플루 바이러스는 폐에서 쉽게 증식한 데 비해 계절성 독감바이러스는 폐에서 증식하지 못했다. 그러나 미니돼지 실험에서는 신종플루 바이러스가 아무런 증상을 일으키지 않았다. 이는 신종플루가 처음 멕시코에서 사람들에게 번지기 전에 돼지들사이에서 먼저 신종플루가 발생했다는 주장이 근거 없는 것임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가와오카 박사는 설명했다. 한편 신종플루는 독성은 훨씬 약하지만 1918년 세계를 휩쓸면서 4천만 명이상의 목숨을 앗아간 스페인 살인독감과 닮은 데가 있다는 사실도 밝혀졌다고 그는 말했다. 1920년 이전과 이후에 출생한 사람들의 혈액에서 채취한 항체를 실험한 결과 1920년 이전 출생자의 항체는 신종플루 바이러스를 인지하고 그에 반응한 반면 1920년 이후 출생자의 항체는 반응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스페인 독감바이러스와 유사하다고 해서 그 독성도 비슷한 것은 아니다. 사실 신종플루 바이러스는 지난 1세 동안 크게 유행했던 치명적인 독감바이러스들에 비하면 상당히 온순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 이유는 신종독감 바이러스가 기도(氣道) 세포에 달라붙는 능력이 약하기 때문이며 그 능력이 강해지기 위해서는 돌연변이를 일으켜야 한다고 국립질병통제예방센터(CDC) 과학자들은 말하고 있다. 이 연구결과는 영국의 과학전문지 `네이처(Nature)` 최신호에 발표됐다. /연합뉴스
2009-07-15
과음이 매우 공격적인 형태의 전립선암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전립선암은 두 가지 종류가 있으며 대부분 10년 생존율이 100%로 아주 서서히 진행되는 온순한 형태가 대부분이지만 공격성이 매우 강한 것은 10년 생존율이 60-70%에 불과하다. 미국 프레드 허친슨 암센터 암예방프로그램부실장 앨런 크리스털 박사는 1만1천명을 대상으로 음주량과 전립선암 사이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독주 4잔에 해당하는 순수한 알코올 50g을 일주일에 5일이상 마시는 사람은 그보다 덜 마시는 사람에 비해 공격성이 강한 전립선암에 걸릴 위험이 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힌 것으로 미국의 온라인 의학뉴스 전문지 헬스데이 뉴스가 13일 보도했다. 술을 많이 마시지 않는 사람과 전혀 마시지 않는 사람은 전립선암 발생률에 차이가 없었다. 술을 가장 많이 마시는 사람들 가운데는 맥주를 하루 6팩 마시는 사람들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맥주라고 해서 다른 종류의 술에 비해 전립선암 위험을 증가시킬만한 특별한 그 무엇이 있는 것은 아니라고 크리스털 박사는는 말했다. 또 술을 많이 마시는 사람은 전립선암을 예방하는 약인 피나스테리드(상품명: 프로스카, 프로페시아)가 전혀 듣지 않는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술을 전혀 마시지 않거나 조금 마시는 사람은 피나스테리드가 온순한 형태의 전립선암 위험을 평균43%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반 반면 많이 마시는 사람들에게는 전혀 효과가 없었다. 이 연구결과는 암 전문지 `암(Cancer)` 온라인판(7월13일)에 실렸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