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살로메

책이 없었다면 여성들의 삶이 어땠을까요? 역사 이래 억눌렸던 여성 삶의 진일보를 그나마 담보할 수 있었던 것은 독서의 힘이 아니었을까요. 이런 가정에 독일 작가 슈테판 볼만이 명쾌한 답을 선사합니다. 작가는 우선, 한 때 여성의 독서가 지극히 위태로운 것으로 취급받던 시대가 있었음을 고찰합니다. ‘책 읽는 여자는 위험하다’고 선언한 시대가 있었음을 책 제목으로 고발하고 있습니다. 더도 말고 덜도 말고 근대 이전의 유럽 여성들이 처한 상황이 그랬습니다. 세상에 대한 대범한 호기심을 갖는 일, 여성들에게 그것은 심히 불온한 것으로 취급되었습니다. ‘고급한’ 사회는 남성만으로도 충분하다는 생각을 가진 이들이 넘쳐나던 시대였지요.

작가는 유럽의 명화 속에서 ‘위험하기 짝이 없는’ 책 읽는 여자들을 불러냅니다. 동시대 밖으로 여성은 하녀이거나 안주인이거나 후작부인이거나 아주 가끔은 왕비이기도 합니다. 그림 속 여자들의 공통점은 책을 읽고 있다는 것이지요. 신분에 관계없이, 책을 가까이한다는 이유만으로 그녀들은 불온한 여자의 혐의가 짙었습니다. 남성의 거울로 비추어볼 때 그 시대 여성의 독서는 백해무익한 것이었으니까요. 세상을 지배하고 호령하는 것은 남성 고유의 영역인데, 더 많은 유익한 것을 여성과 공유하는 것은 피곤한 일에 속했습니다. 될 수 있으면 책 따위와는 여성이 멀리 있기를 바랐을 테지요.

이것을 눈치 챈 여성들은 그들만의 독서 장소를 물색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집주인이 먼 길을 떠나기를 바라고, 읽을거리만 있다면 전장에 나간 남편이 돌아오지 않아도 좋았습니다. 하녀의 책읽기부터 볼까요. 장소라면 볕 잘 드는 다락방이 제격일 것입니다. 감질 나는 중세시대의 로맨스, 그 뒷장을 위해 그녀는 어서 빨리 주인이 집을 비우고 먼 길을 떠나주기를 바랐을지도 모릅니다. 아무렇게나 벗어놓은 주인의 실내화도, 씻어야 할 물주전자도 읽어야 할 책보다 우선일 수는 없습니다. 불온한 독서의 자유야말로 달콤한 휴식의 절정이 아니겠어요. 귀부인은 어땠을까요. 침실이 그녀의 독서실이 되었음은 두말 할 필요가 없겠지요. 높은 신분과 관계없이 여전히 여성에게 세속적이고도 낭만적인 내용의 책 읽기는 허용되지 않았습니다. 방해꾼 없는 자신만의 공간에서 근육을 한껏 이완한 채 그녀들은 독서가 주는 신세계의 광풍 속으로 빨려들 수 있었습니다. 공간적 은밀함이 책읽기의 나른하고도 무한한 상상에 보탬이 되었겠지요.

역사를 움직이는 것은 언제나 소수 엘리트들이었습니다. 엄격하게 말하면 수천 년 동안 인류는 소수 엘리트 남성들이 지배하는 사회였지요. 먼 이야기가 아닙니다. 불과 백여 년 전까지만 해도 이런 생각은 지구촌에 팽배했습니다. 종교 서적을 제외하고는 여자가 독서를 한다는 것은 ‘천성’을 거스르는 행위였습니다. 이런 생각들은 동서양을 가리지 않았습니다.

김살로메소설가
김살로메 소설가

자신만의 규방으로 내몰린 채, 여성들은 책의 향연에 정식으로 초대받은 적은 거의 없습니다. 왜 초대받지 못했는지 알 겨를도 없이 그저 다락으로 침실로 창고로 내몰렸던 것이지요. 그곳에서 세상을 읽고 낭만적 유희를 꿈꿨습니다. 남성들이 볼 때 그것은 불온한 자각이었고, 음탕한 유희였지요. 정보를 여성들과 공유하고 싶어 하지 않았던 그들 눈에는 용서하기 힘든 광경이었지요.

그 시대로 돌아가 책 읽는 여자들 곁에 머물러 봅니다. 저 불온한 자유주의자들 저마다 가슴 속에 화약고 한 보따리씩을 안고 살았을 것이에요. 여성에게도 새로운 세상에 대한 욕구와 드넓은 우주 질서에 대한 갈증이 있다는 걸 왜 인정하지 못했을까요. 멀리 나갈 것도 없습니다. 책을 읽음으로써 누릴 수 있는 최소한의 인간적 쾌락마저도 공유하지 못한 세상이었다니요.

용감하게도 억누를수록 여성들은 유쾌한 고립행위 속으로 빠져들어갔지요. 남성이 전하는 말씀에 의존하는 게 아니라, 독서야말로 세상과 소통하는 막힘없는 통풍구라는 것을 안 이상 물러설 수는 없지 않았겠어요. 숨어서 책 읽던 그 여자들이야말로 페미니스트의 원조가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당연하게도 이제 여성에게 독서는 더 이상 위험한 것이 아닌 시대가 되었습니다. 오히려 책 권하는 사회가 되었지요. 책 때문에 불온해진 만큼이나 세상을 보는 눈이 커진다면 그 보다 나은 독서의 진가가 어디 있을까요. 덜 불온한 여성일수록 더 상처받습니다. 상처 많은 사람들이 한 권의 책에서 힘과 위안을 얻는다면 이 또한 독서의 효용이 아니겠어요. 과감하고 은밀한 독서일수록 그 파장은 큽니다. 책 읽기 좋은 나날, 과도한 휴머니즘이나 뻔한 교훈서, 오그라드는 미담 수준에서 벗어나 불온한 독서광이 되어보는 것도 그리 나쁘지는 않을 거예요. 상처 입은 영혼들이여, 유쾌한 고립의 여정을 떠납시다. 책 읽는 것이야말로 불온해서 종내는 매혹에 이르는 가장 빠른 길이니까요.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