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거리두기·재택근무·외부활동 자제 등 주거내 거주시간 증가
인구 밀집된 도심 상권에 영향… 교외지역 신도시 선호도 강화될 듯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인구가 밀집된 도시지역이나 공동주택에 대한 선호도가 줄어들고, 교외 지역의 신도시 선호도가 강화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지난달 30일 김동근 국토연구원 연구위원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 감염병 대응형 도시계획 방향’ 리포트를 통해 사회적 거리두기, 재택근무, 외부활동 자제 등 코로나19 대응책도 도시사회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이같이 전망했다.

김 연구위원은 코로나19 사태가 끝난 후에도 도시의 위상은 변함이 없겠지만 △상업·유통 분야 △교통 분야 △주거 분야 △산업·고용 분야 등에서 변화가 있을 거라고 예상했다.

김 연구위원은 “다중집합, 대면서비스 업종이 밀집한 도심지역의 상권이 영향을 크게 받을 것”이라며 “슈퍼마켓 등 매출액이 상승한 근린상권은 상대적으로 영향을 덜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지난달 1주차 기준 이번 코로나19로 매출 타격을 가장 심하게 받은 업종은 노래방, 피트니스센터, 영화·공연, 숙박업 등 다중집합, 대면서비스 업종이다. 반면 슈퍼마켓, 정육점, 동물병원 등은 매출액이 상승했다. 그는 또 대중교통의 이용률 저하로 자가용 선호도가 늘 것으로 예상하면서, 대중교통 노선과 도로용량에 변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더불어 택배나 배달차량 등 화물운송 증가에 따른 건축계획도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재택근무와 사회적 거리두기 영향 등으로 주택 내 거주시간이 증가하면서 인구가 밀집된 도시지역이나 공동주택에 대한 선호도가 변화할 가능성도 언급했다.

김 연구위원은 “단기간으로 도시개발 패턴이나 토지이용의 큰 변화는 일어나지 않겠지만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도시변화 가능성을 모니터링해야 적시에 도시계획 대응이 가능할 것”이라며 “물리적 근접성이 아닌 사이버공간으로 연결되는 사회이기 때문에 도시의 중심성이 약화되고 교외 지역의 신도시 선호도가 강화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산업·고용 측면에서는 단기적으로 제조업 침체와 재택근무 확산으로 공장·업무 용지 수요가 변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와 함께 가로활성화 정책과 관광도시 정책, 압축개발 정책이 코로나19 대응책인 사회적 거리두기, 외출자제 전략과 완전히 상반돼 개선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펼쳤다. 이어 1인·분리 공간 선호로 대중교통시설을 비롯한 공공·공유 시설 이용률 저하로 대중교통 활성화 정책과 공유경제 정책은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특히, 외국인을 비롯한 다양한 계층을 포용하고 다문화가정, 사회적 양자에 대한 지원책을 도입하고자 한 포용도시, 국제화도시 정책은 국외 감염자 유입에 대한 부정적 시각 확산으로 추진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김 연구위원은 “일상생활·개인방역 물품을 공급하고 감염병 대응을 위한 공공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기초생활인프라를 확충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감염병 발생을 확인하고 정보를 제공해 확산을 최소화하는 디지털인프라 확충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안찬규기자 ack@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