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을 만든 경북여성 (7)
국내 첫 신춘문예 등용작가 백신애 (상)

백신애 가족들. 부모와 오빠. /경북여성정책개발원 제공

백신애는 영천 출신의 소설가이자 여성 운동가이다. 32세로 요절한 그녀는 1929년 조선일보에 하룻밤 만에 써내려간 단편 ‘나의 어머니’를 응모한 것이 1등으로 당선되면서 신춘문예 출신 첫 여류작가라는 기록을 세웠다. 불꽃같은 지성을 지닌 여성계몽가로 30년대 저항문학의 정수를 보여준 백신애는 경상북도 공립학교 여교사 1호이기도하다. 대구사범 강습과를 수료하고, 1924년 천공립보통학교 교사로 발령받은 백신애보다 더 빨리 교직에 발을 들여놓은 사례는 아직 보고되지 않고 있다. 아명이‘무잠’ , ‘무동’ , ‘술동’등이었던 백신애는 유복한 부잣집 외동딸로 태어났지만 호사를 누리기보다 일제의 핍박으로 짓눌리고 힘든 이들을 따뜻하게 감싸주는 시인의 감성을 타고난 문학가다. 충분히 부귀영화를 누릴 수 있는데도 그보다는 주변의 아낙들이 가부장적 관습에 짓눌리는 모순의 개선을 원했고, 여성의 지위가 향상되도록 하기 위해 헌신했다.

식민지 시대 저항문학가
경북공립학교 여교사 ‘1호’
부잣집 외동딸의 호사 누리기보다
일제 항거와 여성 운동에 앞장

△유복한 가정에서 총명했던 어린시절

1908년 5월 20일 영천군 영천읍 창구동에서 태어난 백신애(白信愛·1908∼1939)의 아버지 백내유는 미곡상과 정미소를 경영하는 영천에서 알아주는 부자였다. 어머니 이내동은 영천 양반에다 영남 갑부인 규수였으며 남다른 모성애로 어려서 병약했던 딸을 자애롭게 받아들이고, 정성을 다해 양육하며 인생 끝까지 따뜻하게 돌봐준 훌륭한 어머니였다. 어머니 이내동은 오월의 창공이 저문 어느날 밤, 비둘기 태몽을 꾸고 백신애를 가졌다. 비둘기 태몽은 영리하고 똑똑한 아이를 말한다더니 백신애는 소녀천재라고 소문이 날 정도로 영리했다.

하지만 백내유는 허약한 딸을 보호하고자 보통학교 정규 교육 대신 6,7세 때부터집에서 독선생을 들여 한문을 익히게 하고, 사서를 가르쳤다. 어려운 집안을 단박에 일으켜 세울 정도로 명석하고 부지런했던 백내유는 천성적으로 병약한 딸이 바깥으로 돌아다니는 것을 꺼렸다. 완고한 면이 있어 신학문도 접하지 못하도록 막았다. 때문에 백신애의 공부는 한학을 하는 선비인 이모부 김 씨가 주로 맡아서 가르쳤다. 위로 5살 많은 오빠 백기호도 백신애에게 큰 영향을 줬다.

백기호는 대구고보(현 경북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일본 중앙대학교에 다니면서 몽양(夢陽) 여운형에게 영향을 받아 진보 좌파적 성향을 지닌 적극적인 사회주의 운동가였다. 백기호는 동생에게 일본말을 가르치고 강의록도 보여줬다. 오빠가 읽던 탐정소설과 고대소설도 백신애가 받아 읽을 정도로 백기호의 사상과 지식을 그대로 습득하기에 이른다.

△짧은 교사생활, 그리고 여성운동에 뛰어들다

1922년 백신애는 집안의 보호와 안정으로부터 스스로 뛰쳐나갈 것을 결심한다. 아버지 몰래 여학교에 지원한 것이다. 그러나 아버지에 의해 곧 발각되고 여학교 대신 사범학교에 들어가는 것으로 합의한다. 그렇게 경북사범 강습과를 1년 만에 우수한 성적으로 수료한 백신애는 1924년 영천공립보통학교 교사로 발령났다. 도내 공립학교 여교사 1호다.

백신애는 1924년 5월 10일 결성된 조선여성동우회와 1925년 1월 21일 결성된 경성여자청년동맹 등에 가입해 운동가의 길을 걷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이 두 여성단체에 가입한 일은 백신애의 발목을 잡았다. 1927년 1월 22일 좌익 여성단체 가입이 탄로나면서 교직에서 강제 퇴직당했던 것이다. 일제침략정책의 충복인 훈도 노릇을 하기 싫었던 백신애는 미련없이 교직을 떠났다. 자유롭게 서울로 올라간 백신애는 본격적인 여성운동에 뛰어들었다.

상경 직후 바로 조선여성동우회, 경성여성청년동맹의 상임위원을 맡은 백신애는 1927년 2월 서울 천도교회관에서 열린 경성여성청년동맹 2주년 기념식을 거의 혼자 손으로 다 치뤄냈다. 치밀하게 준비했고, 행사마다 성공했다. 서울 뿐 아니라 지방을 다니면서도 순회강연을 하면서 사회개혁을 앞당기기 위해 열정을 쏟았다. 목우(牧牛) 백기만이 주선한 김천 강연에서 백신애의 활약은 대단했다. 백기만은 편저인‘씨 뿌린 사람들’에서 경북이 낳은 문인 중에서 고월, 육사와 함께 백신애를 혁명독립지사라고 적고 있다.

부잣집 외동딸에게 보장된 편안하고 안락한 길을 포기하고, 피지배 민족의 고통과 현실적 모순을 여성계몽으로 극복하기 위한 백신애의 노력은 계속되었다.

백신애
백신애

백신애가 가입한 조선여성동우회는 유명한 여성혁명가 정칠성 등을 낳은 단체로 근우회 등과 함께 본격 여성운동을 펼친 단체다. 조선여성동우회는 초창기에는 노동부인을 위한 음악회, 교양강좌 등 온건한 활동을 하다가 차츰 서민여성들의 인권옹호, 자유연애와 성의 해방까지 외치는 조직으로 나아갔다.

조선여성동우회와 경성여성청년동맹을 통해 한창 여성운동에 주력하던 백신애는 1927년 돌연 시베리아로 방랑의 길을 떠났다. 왜 혹한의 블라디보스토크로 떠나야했는지 그 이유는 모른다. 다만‘백신애 소설연구’를 쓴 계명대학교 민현기 교수는 혁명의 땅으로 명명된 그곳을 직접 밟아보려는 백신애의 결심 그 자체가 시베리아행의 원동력이 아니었을까 추정한다. 여성 해방과 민족 해방을 위한 투쟁의지를 더 높이려는‘계획된 고행’이 바로 시베리아행이었다는 분석이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자료제공= 경북여성정책개발원>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