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혁신도시를 주목하다
① 혁신도시, 김천의 새로운 시대를 열다

김천시 율곡동 일원에 조성된 김천혁신도시에는 한국도로공사 등 총 13개의 공공기관이 이전해왔다. 사진은 김천혁신도시 전경.

수도권과 지방 사이의 균형 발전을 위해 국가균형발전특별법이 제정(2004년)된 지 16년이란 시간이 흘렀다. 당시 정부는 수도권에 있는 공공기관 가운데 단계적으로 지방으로 이전하는 정책을 추진하면서 2007년 수도권을 뺀 전국 광역시·도에 모두 10곳의 혁신도시가 지정됐다. 현재 이전할 계획이었던 153개 공공기관 중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을 제외한 152개 기관이 이전을 마무리했다. 김천시 율곡동 일원에 조성된 김천혁신도시에는 한국도로공사와 한국전력기술,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교통안전공사 등 총 13개의 공공기관이 이전해왔다. 당초 혁신도시 조성으로 김천은 경북 중·서부 발전의 신성장엔진으로 자리매김하면서 9조 원의 경제효과와 더불어 5만여 명의 고용이 창출될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하지만, 지금 현실은 그리 녹록지가 않다. 그렇다고 비관할 필요도 없다. 김천혁신도시가 가지고 있는 인프라는 분명 김천의 미래를 이끌고 나갈 힘이 있다. 이에 본지는 김천혁신도시에 위치한 공공기관과 김천시가 만들어가고 있는 김천의 미래에 대해 알아봤다.

 

전국혁신도시협의회 중심 지속적인 유치 노력으로
농소·남면 일대에 8천676억원 투입 김천혁신도시 조성
KTX 김천역 전국 반나절 생활권… 인구 2배 이상 늘어
첨단자동차 산업 육성 테마로 부품·소재산업 집중 계획

◇ 혁신도시란

혁신도시(革新都市, Innovation City)는 행정중심복합도시 사업과 연계해 고(故) 노무현 정부가 추진한 지역균형발전사업으로 공공기관 지방이전과 산(産)·학(學)·연(硏)·관(官)이 서로 협력해 지역의 성장거점지역에 조성하는 미래형 도시를 뜻한다. 혁신도시는 수도권 소재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을 계기로 혁신 주도형 경제의 지역 거점을 형성함으로써 수도권과 지방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지역의 특색 있는 발전을 촉진하는데 목적이 있다.

당시 공공기관은 중앙행정기관을 포함해 전국적으로 410개인데, 그중 약 85%인 346개 기관이 수도권에 위치해 있었다. 이 중에서 수도권 입지가 불가피한 것을 제외하고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심의를 거쳐 176개 기관을 이전 대상 기관으로 선정했으며, 이전 기관과 지방의 특성에 맞춰 집단 이전을 하도록 했다. 현재 전국 혁신도시에 152개의 공공기관이 이전을 완료했다.

김천혁신도시를 건설 중인 모습.
김천혁신도시를 건설 중인 모습.

◇ 김천, 혁신도시로 선정되다

2004년 1월 국가균형발전특별법이 공포되자 정부는 공공기관 이전 방안의 기본 원칙과 추진 방향을 2004년 8월 31일 발표한다. 이 발표에서 공공기관은 원칙적으로 집단 이전으로 결정하고, 혁신도시 입지는 시·도지사가 이전 기관 의견을 수렴해 결정키로 했다. 2005년 6월 수도권 소재 공공기관 시·도별 배치 방안 발표에서 경북에는 한국도로공사, 한국건설관리공사, 교통안전공단, 대한법률구조공단,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조달교육원, 조달품질원, 농림축산검역본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국립종자원, 기상통신소, 우정사업조달센터, 한국전력기술(주) 등 13개 이주 기관 명단이 확정됐다.

이에 경북도는 그해 9월 혁신도시입지선정위원회를 구성하고, 혁신도시 후보지 신청을 받았다. 경북도내 23개 시·군 중 영양, 청송, 울릉을 제외한 20개 시·군이 유치 신청을 했다. 혁신도시 유치를 신청한 20개 시·군은 접근성 등 지리적 여건, 교육·주거·문화환경, 도시 기반시설, 미래발전 가능성 등을 제시하면서 자신들이 최고의 적지라며 유치에 열을 올렸다.

김천시는 농소·남면 일대의 고속철도 역세권개발단지 170만평을 미래형 혁신도시 조성 후보지로 제시하고, 혁신도시 건설에 최적지임을 홍보했다. 김천시의 전략은 그대로 통했다. 혁신도시입지선정위원회 위원들은 접근성과 혁신거점도시 등 전체 평가항목에서 김천시에 고르게 높은 점수를 주면서 2005년 12월 13일 김천시가 혁신도시로 확정됐다.

 

천혁신도시 건설 전 모습
천혁신도시 건설 전 모습

◇ 험난하기만 했던 김천혁신도시 조성

김천시가 혁신도시로 결정되긴 했지만, 조성까지는 험난한 과정을 거쳐야만 했다. 우선 혁신도시 유치에 뛰어들었던 다른 지자체들이 혁신도시 분산론을 꺼내며 반발했다. 탈락한 경북북부지역의 반발이 가장 거셌다. 이들 지역은 낙후된 경북북부 지역을 배제하고 혁신도시를 선정한 것은 북부지역의 몰락과 침체된 경제를 더욱 가속화시키는 것이라며 경북도를 분할, 새로운 도를 신설하는 분도(分道) 운동까지 전개했다. 여기에 2008년 이명박 정부가 들어서면서 혁신도시를 축소하려는 움직임까지 나타나면서 김천시는 혁신도시 건설에 많은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게 된다. 특히, 혁신도시 변경이 수도권의 각종 규제 완화와 맞물리면서 위기감은 최고조에 달했다.

이에 김천시는 10개 혁신도시가 들어서는 전국 14개 시·군·구청장으로 구성된 전국혁신도시협의회를 중심으로 정부의 혁신도시 축소에 공동 대응했다. 당시 박보생 김천시장이 협의회 회장을 맡았다. 김천시가 중심이 된 협의회의 지속적이고, 끈질긴 대응으로 혁신도시 건설은 계획대로 추진하게 됐다.

 

혁신도시 선정에 환호하는 관계자들.
혁신도시 선정에 환호하는 관계자들.

◇ 김천, 경북 성장거점도시로 거듭나

김천시는 농소·남면 일대 381만 1천㎡ 터에 8천676억원을 투입해 김천혁신도시를 조성했다.

2010년 우정사업조달사무소가 연면적 8천188㎡에 지하 1층∼지상 4층 규모의 사옥을 건립하는 것을 시작으로, 한국도로공사 등 모든 이전 공공기관이 사옥을 건립하고, 2016년 이전을 완료했다.

김천혁신도시는 2010년 개통한 KTX 김천(구미)역으로 인해 전국이 반나절 생활권이 됐고, 경부고속도로와 혁신도시를 바로 연결하는 동김천IC와 더불어 인근 김천공단과 구미5산업단지를 연결하는 도로와 혁신도시를 경유하는 국도 우회 대체도로 등이 개설되면서 인근 대도시와의 접근성도 높였다.

2015년도 말 기준으로 김천혁신도시 인구가 9천234명이던 것이 현재는 2만1천674명으로 2배 이상 증가했다. 물론 이전 공공기관의 가족 동반 이주율은 55.1%로 전국 10개 혁신도시 가운데 9번째에 불과하지만, 김천시 전체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기에 큰 문제는 아니다.

국토교통부가 지난해 10월 전국 10개 혁신도시의 정주 여건 개선 등을 위해 2022년까지 4조3천억원을 투입하겠다고 발표했다. 여기에 혁신도시 종합발전계획(2018∼2022년)도 제9차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심의에서 확정됐다.

김천혁신도시는 첨단자동차 산업 육성을 테마로, 첨단 미래교통·안전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자동차 부품·소재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교통안전공단 등과 연계해 첨단자동차검사연구센터도 건립할 예정이다.

또 김천시는 지난 7월 16일 교통안전공단과 친환경자동차, 첨단자율주행자동차, 특수목적자동차 등 운행차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인증·승인·기술검토를 수행하는 ‘튜닝카 성능·안전시험센터’ 건립 업무협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튜닝카 성능·안전시험센터’는 튜닝에 의한 운행자동차의 안전도 확보를 위한 튜닝기술검토를 실시하고, 신기술을 접목한 튜닝에 대한 성능·안전시험, 튜닝항목 개발 및 확대를 위해 추진하는 사업이다.

김천시는 자동차 튜닝산업을 지역전략산업으로 육성해 명실상부한 경북의 성장거점도시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락현기자 kimrh@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