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 예술이 꽃 피는 포항으로

▲ 클래식은 사람과 사람은 물론, 나라와 나라를 이어주기도 한다. 한국-슬로바키아 친선 음악회가 열리고 있다.

# 장면 1.

2018년 5월 31일. 오스트리아 비엔나 쇤브룬 궁전에서 비엔나 필하모닉 교향악단 (Vienna Philharmoniker)의 야외 연주회가 열렸다. 합스부르크 왕가의 황후 마리아 테레지아(Maria Theresia·1717~1780)가 애지중지한 아름다운 그곳에서 시민들을 위한 무료 음악회가 펼쳐진 것. 연주회 시작 3~4시간 전부터 사람들이 몰려들었다. 비엔나의 그날 날씨는 한국의 8월처럼 무더웠다. 그럼에도 연주회장 입장을 기다리는 관객들 중 짜증난 표정을 짓는 이는 없었다. 백발의 노신사부터 할머니 손을 잡고 온 열 살 남짓 아이까지 마찬가지. 고등학생 손자와 쇤브룬 궁전을 찾은 루드비히(71)씨는 “나 역시 어린 시절엔 아버지와 함께 비엔나 교향악단 연주회를 찾곤 했다”며 “좋은 음악과 함께 할 수 있다면 두어 시간쯤 기다리는 건 아무렇지 않다”며 유쾌하게 웃었다.

또 하나 인상적인 장면은 휠체어를 타거나 목발에 의지해 음악회를 찾은 이들이 적지 않았다는 것. 다수의 관객들은 그들을 배려하는 것에 익숙해 보였다. 최소한 비엔나 교향악단의 연주회에서만큼은 장애인 차별이 존재하지 않았다.

# 장면 2.

2011년 7월. 해가 지고 어둠이 내리자 비엔나 시청 건물에 수십m의 거대한 영사막이 드리워졌다.

거기선 녹화된 주세페 베르디(Giuseppe Verdi·1813~1901)의 오페라 ‘라 트라비아타(La Traviata)’가 상영됐다.

계단식으로 만들어진 야외 객석엔 1천 명이 넘는 관객들이 자리를 잡고 있었다. 그토록 많은 사람들이 모였음에도 관객석은 물밑처럼 고요했다. 끼리끼리 떠들거나 깔깔대는 모습은 찾아볼 수 없었다. 놀라웠다. 다들 화면에 빨려 들어갈 정도로 오페라에만 집중하고 있었다. 갑자기 궁금해졌다. 비엔나 시민 모두는 공연장에서 지켜야 할 매너를 혹독하게 교육이라도 받는 걸까? 실내와 야외를 구별하지 않는다. 문화공연과 예술가를 대하는 비엔나 관객의 태도는 어디서나 예의 바르고 정중했다. 7년 전 일이지만 아직도 기억 속에 선명하다.

관객들의 서로를 향한 정중함과 매너 ‘예술공연’에 대한 프로의식 돋보여
소속된 단체에 문제 있으면 입단 1년차 단원도 지적… 비판정신 투철

글 싣는 순서

1. 포항에선 어떤 문화예술 공연이…
2. 비엔나 국립 오페라하우스를 가다
3. 비엔나 공연예술가와 관객들
4. 젊음 넘치는 ‘서울 홍대거리’ 공연문화
5. 다양한 공연이 펼쳐지는 포항으로

◆ 관객 ‘매너’와 예술가 ‘프로의식’이 만든 비엔나 공연문화

공연장에 함께 자리한 이들에 대한 배려와 예술을 향한 흠모와 존중이 비엔나 관객들을 상징한다면, 날카로운 비판정신과 실력에 더불어 인격까지 높여가려는 프로의식은 비엔나 공연예술가의 특징이다.

비엔나 국립 오페라극장, 쇤브룬 궁전, 문화예술기획사 등에서 만난 공연예술 관계자들은 너나없이 “빼어난 프로의식과 비판정신이 오늘날 유럽의 문화와 예술을 만들었다”고 입을 모았다.

▲ 긴 줄을 만들어내고 있는 비엔나 국립 오페라극장의 관객들.
▲ 긴 줄을 만들어내고 있는 비엔나 국립 오페라극장의 관객들.

비엔나에서 활동하는 성악가나 클래식 연주자, 연극배우와 발레단원은 자기가 소속된 극장이나 단체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주저 없이 그 점을 지적한다.

그러니 입단 1년차 단원이 최고 경영자에게 극장 운영 시스템을 비판하는 상황도 가끔 발생한다. 한국이라면 상상하기 어려운 장면이다.

하지만, 지적을 받는 쪽에서도 비판이 합리적이라면 기분 나쁘게 생각하지 않는다.

그리고 구성원 모두가 참여하는 논의와 합의 과정을 거쳐 잘못된 관행을 바꿔나가는 것이 일상화 돼 있다고 한다.

또 하나 독특한 게 있다면 비엔나의 예술가들은 행정적인 업무에도 능력을 보인다.

비엔나 국립 오페라극장 합창단 내에는 재무, 서무, 홍보를 맡아보는 단원이 존재한다.

성악가가 사무직원의 역할까지 겸하는 것이다. 재무와 홍보 등을 담당하는 직원이 따로 없어도 합창단은 원활하게 운영된다.

“문화예술을 잘 아는 사람이 그와 관련된 행정업무도 가장 잘 할 수 있다”는 믿음과 자신감이 비엔나의 공연예술가들에겐 있다.

▲ 공연 후 환호하는 객석을 향해 인사하는 성악가와 연주자들.
▲ 공연 후 환호하는 객석을 향해 인사하는 성악가와 연주자들.

비엔나를 떠나오던 날. 케른트너 거리를 다시 찾았다. 미려하게 우뚝 선 국립 오페라극장의 분수대 인근은 여전히 관광객들로 북적였고, 그날도 클래식이나 오페라 공연이 열리는 것인지 사람들이 긴 줄을 만들어내고 있었다.

“멋진 공연과 만날 수 있다면 몇 시간의 기다림이 대수인가”라고 말하는 관객들. 매너와 정중함을 갖춘 그들의 기다림을 설렘으로 바꿀 정도니 비엔나 공연예술가들의 ‘실력’을 더 설명할 필요가 있을까?

2018년 초여름 비엔나. 공연을 기다리는 관객은 물론, 관객을 기다리는 연주자와 성악가 역시 행복해보였다. 

비엔나 문화예술기획사
WCN 송효숙 대표
한국의 미성숙한 티켓문화 아쉬워
재능있는 음악가에 국가관심 필요

비엔나의 공연예술과 문화가 지닌 특징은 무엇이며, 어떤 힘이 이 도시를 ‘클래식과 오페라의 고향’으로 자리매김 시켰을까?

세계 각국의 공연예술가를 가까이서 만나온 비엔나의 문화예술기획사 WCN(World Culture Networks) 송효숙 대표를 만나 궁금증을 풀어보기로 했다. 아래는 리하르트 바그너가 연주되는 비엔나 시내 카페에서 송 대표와 나눈 이야기다.

-비엔나에서 공연기획사를 운영하게 된 계기가 있는지.

“1996년 대기업 법인장이었던 남편을 따라 가족 모두 비엔나로 왔다. 2년 후 IMF로 회사가 문을 닫게 됐고, 여러 환경이 잘 갖춰진 비엔나에서 아이들 교육이라도 시키고자 남게 됐다. 여기서 지내다보니 현지인들의 일상 속에 생동하고 있는 클래식을 자주 접하게 됐다. 유럽에서 활동하는 한국 음악가들도 만났고, 그들에게 작은 도움이나마 되고 싶었다. 그래서 설립한 것이 WCN이다. 음악을 통해 한국과 오스트리아를 잇고, 한국의 공연예술가를 유럽에 소개시키겠다는 꿈도 생겼다.”

-한국과 오스트리아 관객의 가장 큰 차이가 뭔가.

“연령층이다. 한국에 비해 비엔나는 공연을 관람하는 이들의 나이가 많다. 클래식을 지금의 대중가요처럼 듣던 시기에 그 음악을 사랑했던 중년층 이상이 공연장을 주로 찾는다. 그러다보니 유명한 극장들은 미래의 관객을 위해 청소년들에게는 제일 좋은 좌석을 5유로(약 7천원)에 예약할 수 있도록 해주기도 한다. 한국에서 열리는 클래식 공연의 관객 연령층이 낮다는 것은 미래 한국 클래식시장의 전망이 밝다는 증거가 될 수도 있을 것 같다.”

▲ 유럽 클래식 공연장에선 나이 지긋한 음악 애호가들을 쉽게 만날 수 있다.
▲ 유럽 클래식 공연장에선 나이 지긋한 음악 애호가들을 쉽게 만날 수 있다.

-WCN을 해오며 보람됐던 순간과 마음 아팠던 순간은.

“한국 연주자들이 유럽 무대에 데뷔하는 모습을 볼 때 정말 기쁘다. 클래식 연주자가 유럽에서 데뷔한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실력이 좋다고 모두 무대에 설 수 있는 게 아니니까. 한국 연주자를 더 많이 유럽 무대에서 소개시키는 것, 이 부분이 우리가 해야 될 일이라 믿고 있다. 비엔나의 많은 유학생들이 좋은 실력을 가졌음에도 무대에 설 기회를 얻지 못해 힘겨워 할 때면 우리도 가슴이 아프다.”

-한국 클래식 공연문화는 어떤 부분이 개선돼야 할까.

“한국은 공연에 대한 관심은 상당한데 티켓문화가 아직 덜 성숙된 듯해 아쉽다. 경제적인 어려움 탓에 성장을 멈춘 재능 있는 젊은 음악가들이 주위에 많다. 국가나 기업이 관심이 기울였으면 한다. 그들이 한국의 이름으로 세계적 콩쿠르에 나가 좋은 결과를 얻어내며 성장한다면 그것이 결국 한국의 이름을 높이는 일 아닌가. 그 옛날 바하, 헨델, 모차르트, 슈만 등 유명한 작곡가들도 모두 가난했다. 그러나 그들 곁엔 후원을 아끼지 않은 귀족과 왕이 있었다. 비엔나 교향악단도 전 세계 기업들의 후원이 단원들에게 큰 힘을 주고 있는 것으로 안다.”

▲ 클래식 공연은 연주자의 실력과 함께 관객들의 매너로 완성된다.
▲ 클래식 공연은 연주자의 실력과 함께 관객들의 매너로 완성된다.

-어떤 힘이 비엔나의 공연예술을 지탱하고 있는지.

“축적된 클래식 역사와 이를 계승하고 발전시키려는 국가적 차원의 지원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비엔나 사람들의 일상 속에서 함께 숨 쉬는 아름다운 음악이 그 힘이다.”

-비엔나 공연문화예술 관계자들의 특징은.

“그들은 약속과 신뢰라는 단어를 소중하게 여긴다. 공연의 기획부터 계약, 그리고 진행까지가 바로 이 약속과 신뢰 아래서 진행된다. 유럽은 한국보다 일의 진행이 많이 느리다. ‘빨리빨리’에 익숙한 한국인이 유럽인들과 함께 일하는 게 때론 어렵다. 그러나 약속을 지키기 위해선 시간이 필요하기에 ‘느리지만 정확한’ 유럽 사람들의 태도를 배우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덧붙일 말이 있다면.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강의 왈츠와 알프스의 근사한 풍경이 있는 오스트리아는 작지만 멋진 나라다. 수준 높은 클래식 공연 외에도 구스타프 클림트, 오스카 코코슈카의 그림과 미적 완성도 충만한 비엔나의 역(驛)들을 설계한 건축가 오토 바그너도 여행자들의 호기심을 자극한다. 한 번쯤 비엔나를 찾아 문화예술의 향기를 느껴보시길 권한다.”

글/홍성식기자 hss@kbmaeil.com

사진제공/WCN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위원회 지원을 받아 작성된 것입니다.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