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미·중 정상, 전화 통화···트럼프 “4월 방중 수락”·習 “대만은 전후 질서 핵심”

김진홍 기자
등록일 2025-11-25 06:20 게재일 2025-11-26 6면
스크랩버튼
미국과 중국 정상이 24일(현지시간) 전화 통화를 갖고 대만 문제와 통상 현안, 우크라이나 전쟁 등 주요 국제 이슈 전반을 논의했다. 사진은 지난 경주APEC정상회의 기간중 열린 양국 정상회담 당시의 모습. /백악관 갤러리 제공 

미국과 중국 정상이 24일(현지시간) 전화 통화를 갖고 대만 문제와 통상 현안, 우크라이나 전쟁 등 주요 국제 이슈 전반을 논의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초청을 받아들여 내년 4월 중국 방문을 공식화했고, 양국은 상호 국빈 방문 추진에도 의견을 모았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과 로이터 등에 따르면 시 주석은 통화에서 “대만의 중국 귀속은 전후 국제질서의 중요한 구성 요소”라고 강조하며 기존 원칙적 입장을 재확인했다. 또 “양국은 과거 파시즘·군국주의에 함께 맞섰다”며 “2차대전 승리의 성과를 공동으로 지켜야 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만 문제를 공개 언급하지는 않았으나, 신화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통화에서 “미국은 중국에 있어 대만 문제가 갖는 중요성을 이해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SNS ‘트루스 소셜’에 “매우 좋은 통화였다. 미·중 관계는 극히 견고하다”고 평가하며 우크라이나 전쟁, 합성마약 펜타닐, 미국산 대두 등 농산물 수입 문제를 주요 의제로 언급했다. 그는 “양국 농가를 위한 매우 중요한 합의가 이뤄졌다”며 “이는 앞으로 더 좋아질 것”이라고도 적었다.

두 정상은 10월 말 경주 APEC정상회의 당시 부산에서 열린 정상외교 일정 중 양자 회담을 가진 바 있다. 당시 미국은 펜타닐 대응을 명분으로 대중(對中) 20% 관세를 10%로 인하했고, 중국도 미국산 대두 등에 부과하던 최대 15% 보복관세를 중단하기로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통화를 “부산 회담의 후속조치”라고 설명하며 “합의 유지와 이행에서 큰 진전이 있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의 초청에 따라 2026년 4월 방중을 수락했으며, “2026년 하반기에는 시 주석의 미국 국빈 방문을 성대히 맞을 것”이라고 예고했다. 백악관 역시 두 정상의 통화가 약 1시간 동안 진행됐으며, “매우 유익한 대화였다”고 설명했다.

양국은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했다. 시 주석은 “중국은 평화적 해결 노력을 일관되게 지지한다”며 “관계국들이 이견을 좁히고 공정하고 지속 가능한 합의에 조속히 도달해 위기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최근 미·중 간 대만 문제를 둘러싼 긴장이 고조된 가운데, 이번 정상 간 통화는 부산 회담 이후 양국 관계 안정 흐름을 재확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시 주석은 “부산 회담 이후 미·중 관계는 전반적으로 안정됐고 국제사회도 이를 환영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