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여야 ‘대장동’ 국정조사 협의 또 불발… 추진 방식서 이견

고세리 기자
등록일 2025-11-18 20:02 게재일 2025-11-19 4면
스크랩버튼
추후 논의 이어가기로 합의
Second alt text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원내대표와 국민의힘 송언석 원내대표가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회동하고 있다. 왼쪽부터 국민의힘 유상범 원내운영수석부대표·송언석 원내대표,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원내대표·문진석 원내운영수석부대표. /연합뉴스

여야가 대장동 항소 포기 사건 국정조사를 두고 다시 협상 테이블에 앉았지만, 또다시 빈손으로 끝났다. 앞서 협상 결렬 시 단독 추진도 불사하겠다고 압박해온 더불어민주당은 한발 물러서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다.

민주당 김병기 원내대표와 국민의힘 송언석 원내대표 등 여야 원내지도부는 18일 오후 국회에서 약 1시간 20분 동안 2+2 협상을 진행했지만 조사 방식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협상 직후 민주당 문진석 원내운영수석부대표는 “국정조사 방식에 대해 좀 더 논의하고 당분간 일방적으로 처리하지 않겠다는 정도로 합의했다”고 밝혔고, 국민의힘 유상범 원내운영수석부대표도 “국정조사 내용은 민주당이 주장하는 조작 수사·(검찰)항명, 국민의힘이 주장하는 항소 포기·외압 의혹을 모두 포함하기로 했으나 추진 방식에서 접점을 찾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조사 방식과 관련해서도 민주당은 추미애 위원장이 이끄는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차원의 조사가 가능하다는 입장이지만, 국민의힘은 국회에 특별위원회를 꾸려 여야 동수의 구도에서 조사를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민주당은 지난주 후반부터 협상이 타결되지 않으면 단독으로 국정조사요구서를 제출하겠다는 입장을 유지해왔으나 이재명 대통령의 해외 순방 일정이 겹치면서 민주당도 강 대 강 대치를 피하는 분위기다. 김 원내대표는 전날 고위전략회의 후 “대통령님이 (순방) 나갈 때마다 꼭 여기서 이상한 얘기해서 성과가 묻히고, 이런 경우는 앞으로는 없애려고 한다”며 속도 조절 의지를 드러냈다.

여야는 결국 협상 결렬 선언 대신 ‘추후 논의’를 이어가는 데 뜻을 모았다. 유 수석부대표는 “필요하면 언제든 만날 마음이 양당 원내대표와 수석 모두에게 있다”고 했고, 문 수석부대표도 “당분간 (법안 등을) 일방 처리하지 않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한편, 양당은 협상에서 정치개혁특별위원회를 구성해 선거구 획정 논의에 나서자는 데도 의견을 모았다. 문 수석부대표는 “정개특위는 당내 논의를 거쳐 실시하는 것으로 정리하자는 정도까지 논의됐다”고 전했다.

/고세리기자 ksr1@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