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오징어? 어떻게 먹어도 맛있다

홍성식 기자
등록일 2025-11-18 19:16 게재일 2025-11-19 16면
스크랩버튼
Second alt text
산오징어회는 주당들이 즐기는 안주 가운데 하나다.

잡히는 개체수가 많을 때는 군대나 학교의 단체급식 반찬으로도 흔하게 올랐다. 국을 끓이기도 했고, 이런저런 채소와 함께 고추장 양념에 볶아도 인기가 좋았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과자에도 ‘오징어OO’이란 이름이 붙었던 시절이 있었다.

 

오징어가 많이 잡히는 시기가 되면 동해엔 환하게 불 밝힌 집어등(集魚燈)을 매단 어선이 수백 척 떠다녔다. 오징어는 빛을 발견하면 모여드는 성질을 가졌기에 그런 어획 방식이 사용됐다. 바다 위에서 빛나는 집어등 불빛이 인공위성에서도 관찰될 정도였다.

 

지금은 어획량이 줄어 이전처럼 ‘심심풀이’로 먹을 정도는 아니지만, 한국인들은 여전히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된 오징어를 자주 접하게 된다. 

 

냉동된 오징어를 해동해 끓는 물에 데쳐 먹는 숙회는 오래전부터 주당들이 즐기는 안주였다. 싱싱하게 살아있는 오징어를 칼질 솜씨 좋은 횟집 주인이 썰어낸 산오징회는 식감이 일품이다. 

 

몸통이 아닌 다리는 기름에 튀겨 고소하게 먹는다. 무, 파, 마늘 등을 넣어 칼칼하게 무치면 그 또한 색다른 맛을 낸다. 

 

달콤짭짤하게 볶아낸 오징어는 아이들이 너나없이 좋아하고, 삼겹살과 함께 철판에 구워먹는 오삼불고기도 소박한 주점의 인기 메뉴 중 하나다. 오징어순대와 오징어 버터구이 역시 즐기는 이들이 적지 않다. 

 

많은 한국인들이 땅콩과 곁들여 먹는 마른오징어. 그런데 흥미롭게도 영미권 국가에선 이걸 거의 먹지 않는다고 한다. 그 이유는 오징어를 구울 때 나는 냄새를 끔찍스럽게 여기는 탓이라고. 

 

그럼에도 유럽 대다수 나라는 우리처럼 오징어 요리를 즐긴다. 남부 유럽 사람들은 오징어에 올리브유를 발라 구워 먹고, 오징어 먹물을 파스타에 넣기도 하는 것. 이처럼 오징어는 몇몇 국가를 제외한 동서양 모두에서 사랑받는 식재료다.    
/홍성식기자 hss@kbmaeil.com

경북의 맛과멋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