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19~20일 전 당원 개정안 투표 정청래 “당원 주권시대 열 것” 국힘 정량지표 50%•여론조사 30% 재정 취약지역 경제지표 가산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여야가 각각 공천 규칙 개편안을 공개하며 공천룰의 윤곽이 드러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권리당원 권한을 대폭 강화하는 당헌·당규 개정에 착수했고, 국민의힘은 현역 단체장에 대한 정량·여론·PT 기반의 성과 평가를 공천에 반영하기로 했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17일 최고위원회의에서 “19일과 20일 이틀간 1인 1표 시대 당원 주권 정당에 대한 당원 의사를 묻는 역사적인 전 당원 투표를 실시한다”며 “국회의원도 대의원도 당원도 1표여야 한다”고 밝혔다. 정 대표는 “몇몇 힘 있는 인사가 공천권을 좌지우지하던 폐습을 끊고 당원이 전면 참여해 당 후보를 공천하는 당원 주권 시대, 권리당원 공천 시대를 열겠다”고도 했다.
전 당원 투표에 부쳐진 개정안에는 △당내 선거에서 대의원·권리당원 표 가치 차등 폐지 △기초·광역의회 비례대표 권리당원 100% 선출 △예비후보자 4인 이상 시 권리당원 100% 예비경선 실시 등이 포함됐다. 투표권은 올해 10월까지 당비를 낸 권리당원 164만7000명에게 부여된다.
민주당은 이에 따라 경선 단계 전반에서 권리당원 영향력이 크게 확대될 전망이다. 민주당 내에서는 권리당원 규모가 지역별로 상이한 만큼 호남·수도권과 강원·영남 등 지역 간 경쟁 구도가 어떻게 재편될지 주목된다.
반면, 국민의힘은 현역 단체장 성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해 공천에 반영하는 새 체계를 도입한다. 국민의힘 선출직 공직자 평가혁신 태스크포스(TF)는 17일 최고위원회의에 관련 내용을 보고하며 “현역 단체장에 대해 객관적인 평가 요소가 없었다”며 개편 취지를 설명했다.
평가는 △정량지표 50% △여론조사 30% △개인 PT 20%에 가·감점(-10∼+10점)을 더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정량지표는 △지역고용률·예산 확보·기업 유치 등 경제 지표 40점 △청렴도·소통·안전 등 리더십 지표 30점 △당 기여 지표 30점으로 구성된다. 단체장 임기 기간의 변화율을 중심으로 평가해 지역별 여건 차이를 고려하며, 인구 소멸 지역과 재정 취약 지역에는 경제지표 가산점이 부여된다. 평가 결과는 공천에 반영하되, 컷오프 여부는 공천관리위원회에서 최종 판단한다는 방침이다.
정점식 TF 위원장은 “국가기관의 공식 통계와 공신력 있는 평가 자료를 활용해 민선 8기 동안 어느 정도 지역 발전에 기여했는지 평가할 예정”이라며 “단체장이 우리 당의 철학과 국가관을 얼마나 실천하고 있는지도 평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단체장은 개인 PT를 통해 임기 중 주요 성과와 지역 특화 정책을 직접 발표해야 하며, 당은 이를 향후 전체 공약으로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고세리기자 ksr1@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