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조강 생산의 93%를 차지하는 핵심 거점인 철강도시 포항시·광양시·당진시가 철강 고율 관세 부과라는 심각한 위기에 공동 대응한다.
3개 도시는 지난 2월 미국이 철강관세 25%를 부과했을 당시에도 긴급 영상회의를 열고 공동건의문을 발표했다. 이번에 관세율이 50%로 상향된 데다 한미 협상 대상에 철강이 제외되면서 국내 철강산업의 위기감은 최고조에 달했으며, 앞으로 정부, 국회, 산업계와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해 철강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공동행동을 이어갈 계획이다.
이강덕 포항시장, 김정완 광양부시장, 황침현 당진부시장은 지난 3일 오후 ‘철강 산업도시 단체장 긴급 영상회의’를 열고 미국의 50% 고율 철강 관세 부과 이후 각 지자체의 수출 현황과 피해 상황을 공유하고, 위기 극복을 위한 공동 대응 방안을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참석자들은 철강산업 도시들이 한목소리로 정부 차원의 총력적이고 실효성 있는 대응책 마련을 촉구하고, 각 지자체와 국회, 정부, 지역 기업 등이 모두 참여하는 논의의 장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3개 도시는 앞으로 △대미 관세협상에서 제외된 철강 품목관세에 대한 후속협상에서 정부의 적극적 외교 협상 요청 △철강산업 위기극복을 위한 광양·당진 지역의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 △고용악화 우려에 따른 포항·광양·당진 지역의 ‘고용위기선제대응지역’ 조기 지정 △철강산업 보호를 위한 ‘K-스틸법’ 조속 제정 △‘철강산업 고도화 종합대책’을 지역 실정에 맞게 지역과 협의해 기업이 체감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 4차 배출권 허용 총량 완화 등을 정부에 건의하기로 했다.
3개 도시는 “정부의 막대한 지원을 받는 중국 철강에 대응하는 가격 경쟁력을 갖추려면 고율 관세를 상쇄할 정도의 지원책이 K-스틸법에 반드시 담겨야 한다”며 “대미 철강 관세 협상에 공동 대응할 수 있도록 산업통상자원부의 대미 관세협상TF에 지자체와 기업의 참여를 확대하고, 전 국민적 공감대와 참여를 통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끌어내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공급과잉이 심화되고 있는 철강산업의 구조 전환에 나서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4일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과잉설비 조정 △통상 대응 △고부가·저탄소 전환 △지역경제·안전·공급망 상생협력 등을 핵심축으로 한다.
/배준수기자 baepro@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