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지역 車 부품업계 美 관세 직격탄 “제도적 지원 시급”

고세리 기자
등록일 2025-10-29 19:48 게재일 2025-10-30 4면
스크랩버튼
주호영 주최 ‘대응 전략 간담회’
산업 구조적 위기 진단·대책 모색
Second alt text
29일 오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대구·경북 자동차부품업계 위기와 정부·지자체 대응 전략’ 간담회에 참석한 정부, 지자체, 산업계, 학계 관계자들이 위기 극복을 다짐하며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주호영 국회부의장실 제공

미국의 자동차부품 품목 고관세 장기화로 대구 자동차부품업계가 위기에 직면한 가운데, 관련 업계에 대한 제도적 지원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29일 오후 국회의원회관에서 국민의힘 주호영 국회부의장실 주최로 ‘트럼프 행정부 관세 인상에 따른 대구·경북 자동차부품업계 위기와 정부·지자체 대응 전략’ 간담회가 열렸다. 이날 정부, 지자체, 산업계, 학계 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관세 충격과 산업 구조적 위기를 진단하고 실효성 있는 긴급 대책을 모색했다.

주호영 부의장은 환영사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인상 조치는 단순한 무역 갈등이 아니라 대한민국 제조업 전체의 체질을 근본적으로 다시 점검하라는 신호”라며 “수출 의존도가 높은 대구·경북 자동차산업은 특히 직격탄을 맞고 있다”고 말했다. 

주 부의장은 “우리는 조(兆) 단위 예산이 투입되었음에도 산업 구조를 반영하지 못해 좌초했던 대구 ‘밀라노 프로젝트’의 실패를 잊지 말아야 한다”면서 “정치적 구호가 정책의 현실을 앞질렀던 실수를 반복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발제를 맡은 김대철 대구정책연구원 센터장은 “지역 자동차부품 수출의 절반이 미국에 집중돼 충격이 직접적”이라며 “단기 유동성 지원과 중장기 산업 전환이 병행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토론에서 전문가와 업계는 구조적 위기 극복을 위한 R&D 확대 등 대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방제욱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 전무는 “복합 위기로 업계 피해가 연간 5조 원에 달한다”며 금융지원과 특별법 실효성 확보를 촉구했다.

이항구 산업연구원 위원은 “1차 협력사가 무너지면 2·3차도 붕괴한다”며 R&D 예산 확대 필요성을 강조했고, 서재형 지능형자동차부품연구원 원장은 “AI 기반 다품종 대량생산 체제로 전환해야 한다”며 미래차 전환의 시급성을 역설했다. 

좌장을 맡은 김정윤 대구가톨릭대 교수는 “중견·대기업은 해외로 나가고 영세 협력사는 따라가지 못해 공급망 붕괴와 청년 인력 유출이 우려된다”며 정책 조율 필요성을 지적했다.

정부·대구시는 위기 돌파와 지역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을 약속했다. 박동일 산업부 제조산업정책관은 “관세 피해 대응, 산업 기반 강화, 미래차 경쟁력 확보”를 정책 3대 축으로 제시하며 대구 소부장 특화단지 R&D, 주행시험장 고도화 등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최운백 대구시 미래혁신성장실장은 “자동차 산업은 반도체와 함께 국가 제조업의 양대 축”이라며 “중앙정부의 R&D 투자가 지금보다 2배 이상 확대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세리기자 ksr1@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