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인가족 기준 전통시장 37만8860원·대형마트 47만7750원 직접 담글 경우 절임류 사용·완제품 구매보다 저렴
김장철을 앞두고 올해는 전통시장과 대형마트 모두 지난해보다 저렴하게 김치를 담글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9일 한국물가협회는 올해 4인가족 김장 비용이 전통시장 기준 37만8860원, 대형마트 47만7750원으로 지난해보다 각각 9.6%, 8.4% 하락했다고 밝혔다. 전통시장이 대형마트보다 8만8890원(20.7%) 저렴하다.
지역별로는 포항을 포함한 경북 지역의 김장비용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전통시장 40만4590원, 대형마트 48만2550원으로 전국 평균을 웃돌며 17개 시·도중 5위를 기록했다. 반면 대구는 전통시장 34만620원, 46만5110원으로 전국 평균보다 10% 이상 낮았다.
임상민 한국물가협회 생활물가팀장은 “지역별 김장비용 차이는 유통구조와 소비 형태에 따른 결과”라며 “비용이 높은 지역은 대형 유통 중심의 소비패턴과 물류비 영향이 크고, 낮은 지역은 직거래·지방 시장 중심의 거래 비중이 높아서 안정적이었다”고 설명했다.
김장비용 하락의 주요 요인은 배추·무·고춧가루·소금 등 핵심 품목의 가격 안정이다. 특히 배추와 무 가격이 각각 23.7%, 32.0% 급락하며 전체 비용의 하락세를 견인했다.
배추의 경우 지난해 폭우·폭염으로 인한 작황 부진의 기저효과가 크게 작용했으며, 올해는 산지 출하량이 회복돼 공급이 안정됐다. 무도 작황 회복과 생산량 증가로 도매가격이 지난해보다 크게 하락했다. 고춧가루와 소금도 생산량을 회복해 각각 1.4%, 11.6% 내려가며 안정세를 보였다.
조달 행태에 따른 비용 차이도 뚜렷하다. 생물 배추를 직접 절일 경우 약 42만8000원, 절임 배추를 활용하면 44만6000원, 완제품 김치를 구입하면 63만1000원으로 집계됐다.
절임류 사용과 완제품 구입이 직접 담글 때보다 각각 4%(1만8000원), 47%(20만3000원) 더 비싸 직접 담그는 방식이 가장 경제적으로 나타났다.
한편 최근 소비자 조사에 따르면 김치를 직접 담그는 가구가 68.1%, 시판 김치를 구매하는 가구는 27%로 조사됐다. 직접 담그는 가정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지만 가정에서 시간·노동·공간 제약에 따라 ‘직접 담금’과 ‘구매형’이 공존하는 소비문화가 점차 자리 잡을 것으로 보인다.
/정혜진기자 jhj12@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