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철강, 수입·관세·배출권 3중고”… 포항·광양·당진 상의 공동 건의

김진홍 기자
등록일 2025-10-28 14:49 게재일 2025-10-29 6면
스크랩버튼
2024년 철강 생산량 10년 내 최저
배출 관련 연간 추가 비용 6000억
K-스틸법 제정·배출량 완화 요구
Second alt text
28일 포항상공회의소가 광양·당진 상공회의소와 함께 철강산업 위기극복방안을 산업통상장원부와 기후에너지환경부에 제출했다. 사진 왼쪽부터 포항철강공단, 광양제철소, 당진제철소전경. 

국내 철강산업이 저가 수입재 유입, 고율 관세, 탄소배출권 축소 등 ‘3중고’에 직면한 가운데 주요 철강 도시 상공회의소들이 정부에 공동 대응을 촉구하고 나섰다.

포항상공회의소(회장 나주영)는 28일 광양·당진상공회의소와 함께 ‘국내 철강산업 위기 상황 극복방안’ 건의문을 산업통상자원부와 기후에너지환경부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건의문에는 △‘K-steel법’ 제정 △철강산업 고도화 종합대책 조속 추진 △제4기 배출권 허용총량 완화 등의 핵심 요구사항이 담겼다.

최근 철강업계는 내수 부진과 더불어 중국·일본산 저가 철강재 유입, 미국의 50% 철강관세 부과로 수출이 급감하고 있다. 여기에 내년부터 시행되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의 사전할당 축소와 발전 부문 유상할당 비율 확대(2025년 10%→2030년 50%)가 더해지며 부담이 폭증하고 있다.

업계는 배출권 구매비용과 전력요금 인상분을 합산할 경우 연간 추가비용이 5000억~60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한다. 이 여파로 2024년 국내 철강 생산량은 최근 10년 내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으며, 포스코 1제강공장과 현대제철 포항2공장 등 일부 설비가 폐쇄되는 등 산업 전반의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국회에서는 지난 8월 여야 의원 106명이 공동 발의한 ‘K-steel법’이 정기국회 통과를 목표로 논의 중이며, 정부는 포항을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하는 등 대응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철강업계는 “NDC(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 이행 취지는 공감하지만, 산업현장의 현실을 반영한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고 호소한다.

나주영 포항상공회의소 회장은 “철강산업은 단순한 하나의 제조업이 아니라 국가 기간산업의 근간이자 지역경제의 버팀목”이라며 “정부는 환경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하되 산업 경쟁력 유지를 위한 현실적 보완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글·그래픽/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