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 제조업 AI 도입률 10% 목표···산재 20% 감소·제조AI 전문기업 500개 육성
중소벤처기업부(장관 한성숙)가 24일 제5차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AI 기반 스마트제조혁신 3.0 전략’을 발표했다.
AI 대전환 시대에 중소 제조업의 생산성과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종합 청사진이다.
이번 전략은 △중소 제조기업의 AI 전환 △스마트제조산업 육성 △AI 인프라 확충 등 3대 축으로 구성된다.
정부는 이를 통해 2027년까지 1만2000개의 AI 중심 스마트공장을 구축하고, 중소 제조업의 AI 도입률을 현재 1% 수준에서 10%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 중소 제조기업 ‘AI 대전환’ 본격화
정부는 기업 규모와 수준에 맞춰 단계별로 버티컬 AI 솔루션을 적용하고, 사전·사후 컨설팅 등 전 주기 지원체계를 마련한다.
스마트공장 성과평가에는 환경성과·안전성 지표를 반영해 생산성뿐 아니라 근로환경 개선도 함께 추진한다.
특히 대기업이 보유한 대규모 AI모델을 중소 협력사와 공유하는 ‘상생형 AI 공장’을 확대해 공급망 단위의 디지털 전환을 유도한다.
또 식품·화장품 등 업종별 맞춤형 AI 도입 사례를 육성하고,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기반 구독형 스마트공장을 도입해 초기 비용 부담도 완화할 방침이다.
△ 제조AI 산업 생태계·전문기업 500개 육성
중기부는 스마트제조 기술기업을 ‘전문기업’으로 지정하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AI 역량평가·맞춤형 컨설팅 등 체계적인 지원을 추진한다.
또한 AI 기반 기술로드맵을 수립해 디지털 전환 기술, 공정자동화, 로봇 등 핵심 기술개발을 전략적으로 지원하고 연구개발 성과의 상용화 연계를 강화한다.
이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제조AI 전문기업 500개 사를 육성하고, 창업→투자→판로→수출로 이어지는 성장 단계별 지원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 제조데이터·인력·정책 인프라 일원화
정부는 중소 제조 현장의 핵심 장비를 대상으로 국제표준(AAS, 자산관리쉘) 기반 데이터 표준화를 추진하고, 제조데이터셋 1000개를 공개해 민간 활용을 촉진한다.
또 연구·실무·재직자 전 단계를 대상으로 AI 리터러시(문해력) 교육을 강화하고, 중앙·민간·지역 간 협력을 통합한 ‘제조AI24 플랫폼’을 구축해 원스톱 지원체계를 마련한다.
이를 통해 정부는 AI를 활용한 산업재해율 20% 감소와 중소 제조 일자리의 질적 개선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 “AI 전환은 생존전략”···청년이 찾는 강소기업 육성
한성숙 중기부 장관은 “중소기업의 스마트제조혁신은 단순한 기술도입이 아니라 생산방식 혁신을 통한 생존전략”이라며 “AI 대전환 시기에 중소 제조기업이 인력난을 해소하고, 청년이 찾아오는 진짜 강소기업으로 성장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