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북 청년 절반 “결혼하고 싶다”···일자리·소득 불안정에 ‘결혼 유예’

배준수 기자 · 피현진 기자
등록일 2025-10-19 14:58 게재일 2025-10-20 1면
스크랩버튼
Second alt text
결혼을 망설이게 하는 원인에 대한 경북도민 설문조사 결과. /경북연구원 제공

경북에 사는 청년 절반 이상이 결혼할 의향이 있지만 일자리와 소득 불안정 때문에 결혼을 유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경북저출생정책평가센터에 따르면 지난 7월 도민 설문조사 결과 경북 미혼 청년의 51.3%가 ‘결혼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25~29세 남녀 모두 60% 이상이 결혼을 원한다고 했다.

그러나 2024년 기준 경북의 혼인 건수는 10년 전보다 약 40% 감소했다. 초혼 나이는 남성 33세, 여성 31세로 늦춰지고 있다. 지역 정주 기반 약화와 구조적 제약이 결혼 시기를 지연시키는 결과로 해석된다. 특히 현행 정책이 결혼 이후 단계인 출산·양육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청년이 결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겪는 경제적 불안정과 정서적 고립을 해소하지 못한다는 사실도 보여준다. 

결혼을 주저하는 원인에 대해 29.6%가 일자리와 소득의 불안정을 꼽았다. 주거비 부담(18.1%), 혼수·결혼 비용(14.0%), 금융지원 한계(10.0%) 등이 뒤를 이었다. 청년들이 결혼을 원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현실적 여건이 뒷받침되지 않아 실행할 수 없는 구조 속에 놓여 있음을 보여준다. 경북의 20~30대 청년 면담 조사 결과에서는 결혼과 일자리 불안정은 개인의 의지 부족이 아니라 노동시장과 지역 여건의 구조적 문제라는 인식이 높았다. 

이정민 경북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청년층의 결혼 유예는 단순한 가치관 변화로 설명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며 결혼을 미루는 현상은 가족, 노동시장, 지역사회, 제도 등 다양한 사회적 영역에서 나타나는 구조적 제약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 위원은 경북의 청년 결혼정책은 결혼 장려 사업이 아니라 청년이 지역에서 자립하고 관계를 형성하며 정착할 수 있도록 돕는 생애 이행 전 주기 지원체계로 전환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청년의 실제 생애 단계에 맞춘 3단계 통합지원체계를 구체화하는 것이 정책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배준수·피현진기자 baepro@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